•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송권화

생명과학대학 서관 310호

Tel : 02-3290-3012

Lab : 02-3290-3881

E-mail: ghsong@korea.ac.kr

  • About Professor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Lab Members
  • Profile

    학력

    (Ph.D.) Texas A&M University, USA (Co-Advisors: Drs. Fuller W. Bazer (Wolf Prize laureates) & Thomas E. Spencer (a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경력

    2007년 6월 1일-2009년 2월 28일: Research Associate (Center for Animal Biotechnology and Genomics, Texas A&M University, USA)

    2009년 3월 1일-2013년 3월 30일: WCU 조교수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 WCU 바이오모듈레이션 전공)

    2013년 4월 1일 - 현재: 조교수, 부교수, 교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학회 활동 경력

    2003년-현재: Society for the Study of Reproduction, 정회원

    2003-2008: Texas Forum on Reproductive Science, 정회원

    2017-현재: American Society of Animal Science, 정회원

    2018-현재: American Dairy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

    2021-현재: Society for Redox Biology and Medicine, 정회원

    2009년-현재: 한국가금학회, 정회원

    2009년-현재: 한국발생생물학회, 정회원

    2009년-현재: 대한생식의학회, 정회원

    2009년-현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동물번식학회, 정회원

    2011년 11월 1일-2014년 10월: 한국가금학회 국제협력위원장

    2011년 11월 1일-2014년 10월: 세계가금학회 한국지부 사무국장

    2011년 11월 1일-2014년 10월: 아시안태평양 가금학회 한국지부 사무국장

    2011년 11월 1일-2016년 10월: 한국가금학회 편집위원

    2014년 11월 1일-2016년 10월: 한국가금학회 재무위원장

    2012년 12월 1일–2016년 11월: 한국동물번식학회, 평의원

    2012년 12월 1일–2016년 11월: 한국동물번식학회, 편집위원

    2015년 1월 1일-2017년 12월 31일: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Section Editor

    2016년 7월 1일-2020년 3월 31일: Domestic Animal Endocrinology, Editorial Board

    2020년 1월 1일-현재: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Biotechnology, Editorial Board

    2020년 7월 14일-현재: Antioxidants, Editorial Board

    2020년 9월 8일-현재: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Editorial Board

    2022년 12월 1일-현재: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Editorial Board

    2023년 1월 17일-현재: Chemosphere, Editorial Board

     

    교내 활동 경력

    2014년 11월 22일 2014년 11월 23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4년 12월 10일 2014년 12월 17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4년 12월 22일 2014년 12월 29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5년 11월 21일 2014년 11월 21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5년 11월 25일 2014년 12월 01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6년 11월 26일 2016년 11월 26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6년 11월 28일 2016년 12월 05일: 고려대학교 입시, 감독, 평가위원회 위원

    2013년 5월 1일-2019년 4월 30일: 고려대학교 BK21 PLUS 생명공학원 사업단 준비/실무위원

    2016년 1월 1일-2016년 7월 31일: 고려대학교 제2대 동물분자생체공학연구소 실장

    2016년 6월 1일-2020년 5월 15일: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동서관 기기센터 운영위원

    2016년 8월 1일-2018년 7월 31일: 고려대학교 제1대 동물분자생체공학연구소 부소장

    2018년 3월 1일-2019년 4월 30일: 고려대학교 BK21 PLUS 생명공학원 사업단 운영위원

    2018년 5월 14일-2019년 2월 28일: 고려대학교 교수 입학사정관

    2019년 5월 13일-2020년 2월 29일: 고려대학교 교수 입학사정관

    2018년 8월 1일-2020년 7월 31일: 고려대학교 제2대 동물분자생체공학연구소 부소장

    2020년 8월 1일-2022년 6월 30일: 고려대학교 제3대 동물분자생체공학연구소 부소장

    2020년 5월 16일-2022년 5월 31일: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기기센터 센터장

    2020년 5월 16일-2022년 5월 31일: 고려대학교 방사선안전관리센터 운영위원

    2020년 3월 19일-현재: (주)팀바이오테크놀로지 대표

    2022년 7월 1일-현재: 고려대학교 제5대 동물분자생체공학연구소 소장

     

    학회 조직위원 경력

    2009년: 국제 컨퍼런스 “Germ Cell, Stem Cell and Reproductive Biology” 조직위원

    2011년: 국제 심포지움 “Biomodulation Symposium 2011” 조직위원

    2011년: 국제 심포지움 ”The 4th Special Biomodulation Symposium” 조직위원

    2012년: 국제 컨퍼런스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Aging, Obesity, and Cancer” 조직위원

    2014년: 국제 컨퍼런스 : “The 10th Asia Pacific Poultry Conference” 조직위원 및 국제협력분과위원장

     

    대외 홍보 실적
    1. 과당이 건강한 임신 유지에 결정적 역할 (YTN 뉴스, 2012.6.12)
    2. 임신기간 중 과당의 절대적 필요성과 대사경로 규명 (뉴스 1 코리아, 2012.6.12)
    3. 과당도 건강한 임신 유지에 도움 (Naver 뉴스, 2012.6.12)
    4. 단맛내는 과당 태아건강 도움 (매일경제, 2012.6.12)
    5. 과당은 태반 건강하게 하는 임신부의 필수영양소 (경향신문, 2012.6.12)
    6. Fructose가 건강한 태반을 만들고 임신유지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만드는 효과 및 작용기전 규명(연합뉴스, 2012.7.24)
    7. 서울대, 과당이 건강한 태반 형성에 영향 미친다는 사실 밝혀내 (아시아투데이, 2012.6.12)
    8. 임신기간 중 과당 절대적 역할 (디지털타임즈, 2012.6.12)
    9. 가금학 국제연구 네트워크 구축의 장으로 (축산신문, 2012.9.5)

     

    저서 실적

    동물분자육종학(공저)-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년 9월 7일 발행)

    (Book Chapter) Pregnancy recognition signaling, fetal-placental development and prenatal fetal programming(공저)-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2012)

     

    역서 실적

    세포생물학 (Karp’s Cell Biology-Global edition) (공역), ㈜도서출판 월드사이언스 (2019년 2월 15일 발행)

     

    연구 수상 경력

    -The 1st-prizewinner in platform presentation of graduate students, The Symposium of Korean Poultry Science (2001년)

    -Graduate Research and Presentation Grant Recipient, Texas A&M University (2005년)

    -The 2nd-placewinner in Trainee Research Competition, Society for the Study of Reproduction, 39th Annual Meeting (2006년)

    -USDA-NRI Travel Fellow, Society for the Study of Reproduction, 39th Annual Meeting (2006년)

    -Dr. A.M. “Tony” Sorensen, Jr. Achievement Award, Texas A&M University (2007년)

    -서울대학교 차세대 우수 신진학자 선정 (2012년 10월 19일)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우수평가자 선정 (2016년 1월 19일)

    -제8회 NH 축산학술상 수상 (2017년 6월 29일): 사단법인 한국축산학회&농업경제지주

    -제21회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대상 대통령표창 (2018년 10월 18일): 농림축산식품부

    -2021 고려대학교 석탑연구상 수상 (2021년 5월 5일)

    -2022 고려대학교 석탑연구상 수상 (2022년 5월 5일) 

    -2022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보건복지부 장관표창 수상 (2022년 11월 30일)

    -2023 한국동물생명공학회 학술상 (2023년 6월 23일)

     

    교육 수상 경력

    2013, 2학기 석탑강의상(동물생리학), 고려대학교

    2014, 1학기 석탑강의상(동물생리학), 고려대학교

    2014, 1학기 석탑강의상(세포생물학 I), 고려대학교

    2014, 2학기 석탑강의상(세포생물학 II), 고려대학교

    2015, 1학기 우수강의상(세포생물학 I), 고려대학교

    2015, 2학기 우수강의상(세포생물학 II), 고려대학교

    2016, 1학기 우수강의상(세포생물학 I), 고려대학교

    2016, 2학기 우수강의상(세포생물학 II), 고려대학교

    2017, 1학기 우수강의상(생식의학특론), 고려대학교 BK21PLUS 생명공학원

    2017, 2학기 우수강의상(발생학특론), 고려대학교 BK21PLUS 생명공학원

    2019, 1학기 석탑강의상(세포생물학 I), 고려대학교

    2021, 1학기 우수강의상(세포생물학I), 고려대학교

    2021, 2학기 우수강의상(세포생물학I), 고려대학교

  • Publication

     

    1. Bae H, Yang C, Lee JY, Park S, Bazer FW, Song G, Lim W. Melatonin improves uterine-conceptus interaction via regulation of SIRT1 during early pregnancy. J Pineal Res. 2020 Sep;69(2):e12670.

     

    2. Park S, Lee JY, You S, Song G, Lim W. Neurotoxic effects of aflatoxin B1 on human astrocytes in vitro and on glial cell development in zebrafish in vivo. J Hazard Mater. 2020 Mar 15;386:121639.

     

    3. Yang C, Song J, Hwang S, Choi J, Song G, Lim W. Apigenin enhances apoptosis induction by 5-fluorouracil through regulation of thymidylate synthase in colorectal cancer cells. Redox Biol. 2021 Nov;47:102144. 

     

    4. Ham J, Lim W, Song G. Pendimethalin induces apoptosis in testicular cells via hampering ER-mitochondrial function and autophagy. Environ Pollut. 2021 Jun 1;278:116835.

     

    5. Park H, Lee JY, Lim W, Song G. Assessment of the in vivo genotoxicity of pendimethalin via mitochondrial bioenergetics and transcriptional profiles during embryogenesis in zebrafish: Implication of electron transport chain activity and developmental defects. J Hazard Mater. 2021 Jun 5;411:125153.

     

    6. Park W, Park S, Lim W, Song G. Bifenthrin reduces pregnancy potential via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porcine trophectoderm and uterine luminal epithelial cells. Sci Total Environ. 2021 Aug 25;784:147143.

     

    7. An G, Park H, Lim W, Song G. Fluroxypyr-1-methylheptyl ester interferes with the normal embryogenesis of zebrafish by inducing apoptosis, inflammation, and neurovascular toxicity. Comp Biochem Physiol C Toxicol Pharmacol. 2021 Sep;247:109069.

     

    8. Lee W, An G, Park H, Lim W, Song G. Diflubenzuron leads to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ROS generation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Pestic Biochem Physiol. 2021 Aug;177:104893. 

     

    9. Park J, An G, Lim W, Song G. Dinitramine induces implantation failure by cell cycle arrest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porcine trophectoderm and luminal epithelial cells. J Hazard Mater. 2022 Apr 14;435:128927.

     

    10. Kim M, An G, Lim W, Song G. Alachlor breaks down in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and leads to cell cycle arrest through JNK/MAPK and PI3K/AKT signaling mechanisms in bovine mammary gland epithelial cells. Pestic Biochem Physiol. 2022 Jun;184:105063. 

     

    11. Lee H, An G, Lim W, Song G. Tebufenpyrad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disruption of calcium homeostasis in porcine trophectoderm and luminal epithelial cells. Pestic Biochem Physiol. 2023 Jan;189:105314.

  • Research

    Research Topic

    분자발생공학 연구실은 여성/남성의 생식기관 발달 기전 규명, 생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착상 및 임신 유지를 위한 유용 물질 발굴,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환 치료제 개발 등을 목표로 생식 전반에 걸쳐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여성/남성 생식기관의 발달 및 질환에 대한 생리학적, 유전학적, 분자내분비학적 신호 전달체계의 규명을 위해 세포수준의 연구를 비롯하여 마우스, 랫트, 제브라 피쉬 등의 다양한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여성 생식기관 유래 질환/악성종양 진단,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


    여성암은 난소암, 자궁암, 유방암으로 대표되는 여성에게 발병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특히 난소암은 주기적인 배란으로 인한 난소 상피의 파열 및 이에 따른 유전자 변이로부터 발생하는데, 특이적인 초기 증상과 조기 진단 가능한 바이오마커의 부재로 인해 난소암 환자들의 대다수가 말기에 진단되는 실정입니다. 분자발생공학 연구실에서는 인간 유래 난소암 세포를 이용해 난소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세포 수준 연구 및 세포 내 신호전달기전 규명 및 조절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대학병원 산부인과 연구진과의 협업을 통해 난소암 환자 조직을 제공받아, 한국형 여성암을 조기진단할 수 있는 최적의 바이오마커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여성암 발병률 1위를 차지하는 유방암의 치료와 잔류 종양에 의한 재발률 및 사망률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여 본 연구실에서는 식물성화합물이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세포 내 신호전달기전을 밝힘으로써 유방암 치료를 위한 후보 생리활성물질을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바이오인포메틱스 기술을 기반으로 식물성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표적할 확률이 높은 유방암세포의 유전자를 선별하고 발현 정도를 분석하여,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핵심 유전자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양막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거나 전이하여 발병하는 악성 종양인 융모암 치료에 있어서 다양한 채소 및 과일 유래의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규명하며, 치료보조제 및 건강보조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성 생식기관 유래 암종에 대해 마우스와 제브라 피쉬를 이용한 질병모델을 구축하여 실제 체내 환경에서의 항암 효과를 검증하고 기존의 항암제와의 병용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2. 유용물질 처리를 통한 모돈의 착상촉진 기술 및 번식능력 개선에 관한 연구

     

    현재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하여 모돈 한 마리당 연간 새끼돼지 출하 마릿수가 현저히 낮습니다. 또한, 임신 초기 태아 사망률이 전체 기간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모돈 산자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착상을 촉진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따라서, 케모카인 CCL family와 같은 유용물질 발굴과 그 분자적 기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직 내 면역 조절 및 산자수 관련 지표를 선별하여 모돈 다산성에 대한 개량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후보 환경호르몬/독성물질 노출에 따른 여성/남성 생식기관에 대한 독성 작용 메커니즘 규명에 관한 연구

     

    최근 여러가지 천연 또는 합성 물질들이 개발되어 식품 속 보존제, 방지제 등으로 쓰이거나 제초체, 살충제 그 외의 약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용됨에 따라 그 노출 빈도 또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내분비계를 혼란시키거나, 생식기관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수태 능력이 수정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불임율과도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분자발생공학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생식 세포주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독성물질 처리에 따른 질환 발병 또는 정상적인 기능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중에 있습니다. 

     

     

    4. 제브라 피쉬 모델을 통한 초기 배아 발달 관련 유전자 발굴 및 단계별 기관 형성 연구

     

    척추동물모델을 이용한 인간의 발생과 발달, 그리고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는 생체 내 변화를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관찰할 수 있고, 세포생물학적인 실험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자발생공학 연구실에서는 단시간에 다량의 수정란을 얻어낼 수 있고, 빠른 발생 단계를 거치며, 인간 genome과의 높은 유사도를 가지고 있는 제브라피쉬를 척추동물모델로 활용하여 초기 발생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패턴의 변화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조직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유래되어 심각한 환경 오염 유발원으로 거론되고 있는 물질의 초기 독성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들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상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독성 유발 모델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표현형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로 만들어진 형질전환 모델을 도입하여 특정 기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자 수준에서의 검증 뿐만 아니라 현미경하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5. 줄기세포 배양 배지를 이용한 성상교세포 과활성 저해 기전 발굴 및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에서의 치료검증

     

    알츠하이머병은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의 축적,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 및 염증반응에 의한 뇌 세포 손상에 의해 발병합니다. 알츠하이머의 치료를 위해 세계 저명한 연구기관 및 기업들이 투자와 연구를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지 못했습니다. 분자발생공학 연구실에서는 알츠하이머의 대표적 증상인 성상교세포의 과활성에 따른 지나친 염증반응에 의해 손상된 신경 세포들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연구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정상 성상교세포에 인터루킨과 콜라겐을 처리하여 인위적으로 과활성화를 시키고, 신경 줄기세포의 배양 배지를 처리하여 활성 감소를 확인하고, 배양 배지 내 특정 단백질을 역 추적하여 성상교세포의 과활성에 관여하는 인자를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을 도입하여 세포수준에서 발굴한 후보 인자들의 역할을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Teaching

    [학부 강의과목]
    • 동물생리학
    • 세포생물학Ⅰ
    • 세포생물학Ⅱ
    • 생식의학
     
    [대학원 강의과목]
    • 발생학특론
    • 생식의학특론
    • 유전자발현조절특론
     
    [특수대학원 강의과목]
    인체생리학특론
    분자조직학특론
    분자진단의학실험
     
    *학부 조교 : 이호준
    **대학원 조교 : 권준헌
    ***특수대학원 조교 : 김신혜

    [대학원 과목]

     

  • Lab Members

    Postdoctoral Fellow

     

       

    박원형

    pwh9224@korea.ac.kr

     

     

    Ph.D. Students

    이웅희

    cleverwhl@korea.ac.kr

    박준호

    boun4652@korea.ac.kr

    김미지

    mj-kim@korea.ac.kr

    이호준

    leejssh97@korea.ac.kr

    M.S. Students
       

    권준헌

    junhun_k@korea.ac.kr

    김신혜

    sinhye01@korea.ac.kr

     

     

    Undergraduate Students
       

    전경진

    lilly2991@naver.com

     

     

    Part-time M.S. Students
     
    석목란

     
     

     

     

     
         
    Alum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