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Jae Hyun Bae, 배재현

Tel:  031-412-5190, 5197

E-mail: urobae@gmail.com

KakaoTalk : urobae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News Media
  • Lab Members
  • Profile

    Professor, Urolog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san Hospital
    Vice General Secretary in Korean Urological Foundation
    Chair of Public Media Committee in Korean Continence Society
    Adviser of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of Suwon
    Evaluation Committee of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ubspeciality : Voiding Dysfunction, Female Urology
    Interests

    - Medical Treatment of OAB, BPH/LUTS, BPS/IC

    - Surgical Treatment of SUI, POP

    - Laparoscopic Transvesical Surgeries (Pneumovesical Operations)

    - Surgery of Extremely Difficult Unusual Cases

    - Functional Preservation Surgeries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고대안산병원 비뇨의학과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홍보위원장
    수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문위원
    의료기관평가인증원 비상근조사위원
    세부전공 : 배뇨장애, 여성비뇨질환
    관심분야 (진료분야)

    - 과민성방광, 전립선비대증/하부요로증상, 방광통증후군/간질성방광염

    - 요실금, 방광류, 골반질탈출증의 수술적 치료

    - 방광내 복강경 수술

    - 고난이도 희귀 증례 수술

    - 비뇨기계 장기 기능 보존 수술

     

     

  • Curriculum Vitae

    Education 교육

    Mar,1992~Feb,1998  :  M.D. degree from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p,2000~Aug,2002  :  Master degree from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p,2002~Feb,2005  :  Doctor’s degree from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1992 3 ~ 1998 2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2000 9 ~ 2002 8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2 9 ~ 2005 2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Professional Experience 전문경력
    • Mar,1998~Feb,1999  :  Internship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Mar,1999~Feb,2003  :  Residency of Urology, Korea University Hospital

      Mar,2003~Feb,2005  :  Fellowship of Urology, Korea University Hospital

      Mar,2005~Feb,2006  :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Korea University Hospital

       

      Mar,2005~May,2005  :  Clinical Research Fellow, Tokai University Hospital, Japan

      Sep, 2009~Oct, 2010  :  Research Fellow, Wakeforest Ins of Regenerative Med,NC, USA

       

      Mar,2006~Feb,2008  :  Fulltime lecturer, Korea University Hospital

      Mar,2008~ Feb,2012  :  Assistant professor, Korea University

      Mar,2012~ Feb,2017  :  Associate professor, Korea University

      Mar,2011~Feb,2018  :  Head of Urology,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san Hospital

      Mar,2017~present  :  Professor, Korea University

    •  

    •  

    • 1998 3 ~ 1999 2  :  고려대학교 의료원 수련의 (인턴)

      1999 3 ~ 2003 2  :  고려대학교 의료원 비뇨의학과 전공의 (레지던트)

      2003 3 ~ 2005 2  :  고려대학교 의료원 비뇨의학과 전임의 (펠로우)

      2005 3 ~ 2006 2  :  고려대학교 의료원 비뇨의학과 임상조교수

       

      2005 3 ~ 2005 5  :  일본 동해대학교 비뇨의학과 임상연구원 복강경 연수

      2009 9 ~ 2010 8  :  미국 웨이크포레스트 대학 재생의학연구소 연수

       

      2006 3 ~ 현재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교원

      2006 3 ~ 2008 2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2008 3 ~ 2012 2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2012 3 ~ 2017 2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2011 3 ~ 2018 2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2017 3 ~ 현재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18 5~ 현재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적정진료관리부장
    Activities in Society 학회활동

    Nov,2007~Oct,2009  :  Secretary Editor in Korean Continence Society

    Dec,2008~Nov, 2012  :  Board of Information Committee, Korea Urological Association

    May,2012~May, 2014  :  Secretary General, Korea Association of Urogenital Tract infection and inflammation

    Sep, 2009~Dec,2015  :  Board of Publicity Committee in Korean Continence Society

    Nov, 2012~Nov, 2016  :  Board of Publicity Committee in Korea Urological Association

    Jan,2016~Nov,2017  :  Secretary General in Korean Continence Society

    Nov,2016~Nov,2018  :  Vice General Secretary in Korean Urological Foundation

    Nov,2018~present  :  Chair of Public Media Committee in Korean Continence Society

     

     

    2007 10 ~ 2009 10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편집간사

    2008 12 ~ 2012 12  :  대한비뇨기과학회 정보위원

    2012 5 ~ 2014 5  :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총무

    2009 9 ~ 2015 12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홍보위원

    2012 12 ~ 2016 12  :  대한비뇨기과학회 홍보위원

    2016 1 ~ 2017 12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총무

    2016 12 ~ 2018 12  :  대한비뇨기과학재단 부단장

    2018 1 ~ 현재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홍보위원장

    2020 1 ~ 현재 : 대한뇨인요양비뇨의학회 기획이사


    Books 저서

    Principles of Regenerative Medicine, 201106, ISBN 978-01-23814-22-7

    최소침습 수술학, 201006, ISBN 89-955345-2-4

    최소침습수술학 제1판, 201006, ISBN 89-955345-2-4

    배뇨장애 용어집 개정판, 200905, ISBN 978-89-96021-08-7

    배뇨장애와 요실금 제2판, 200905, ISBN 978-89-33705-65-0

    요역동학검사 아틀라스, 200905, ISBN 978-89-92006-55-2

    요역동학검사, 200805, ISBN 978-89-92006-40-8

    여성 요실금의 보존치료, 200710

    배뇨장애와 요실금 제3판, 201509, ISBN 979-11-95183-82-1

    학회25년과 우리들의 이야기 201612, ISBN 979-11-87733-01-0

  • Publication

    Publications in Pubmed search (Recent 5 years Only, 2012~2017) 국제전문학술논문 (최근5년만)

    1: Ahn ST, Kim JH, Park JY, Moon du G, Bae JH. Acute postoperative pain after

    ureteroscopic removal of stone: incidence and risk factors. Korean J Urol. 2012

    Jan;53(1):34-9. doi: 10.4111/kju.2012.53.1.34. PubMed PMID: 22323972; PubMed

    Central PMCID: PMC3272554.

     

    2: Kim JW, Moon du G, Shin JH, Bae JH, Lee JG, Oh MM. Predictors of Voiding

    Dysfunction after Mid-urethral Sling Surgery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t

    Neurourol J. 2012 Mar;16(1):30-6. doi: 10.5213/inj.2012.16.1.30. PubMed PMID:

    22500251; PubMed Central PMCID: PMC3321401.

     

    3: Ham BK, Kim JH, Oh MM, Lee JG, Bae JH. Effects of combination treatment of

    intravesical resiniferatoxin instillation and hydrodistention in patients with

    refractory painful bladder syndrome/interstitial cystitis: a pilot study. Int

    Neurourol J. 2012 Mar;16(1):41-6. doi: 10.5213/inj.2012.16.1.41. PubMed PMID:

    22500253; PubMed Central PMCID: PMC3321403.

     

    4: Jang HA, Cho S, Kang SG, Ko YH, Kang SH, Bae JH, Cheon J, Kim JJ, Lee JG. The

    relaxant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bladder and prostatic urethra: an in

    vitro and in vivo study. Urol Int. 2012;88(4):463-9. doi: 10.1159/000337206.

    PubMed PMID: 22507987.

     

    5: Kim JW, Oh MM, Yeo JK, Bae JH, Joo KJ, Choi JB, Park HS, Kim HJ, Moon du G,

    Lee JG. Efficacy of Dose Escalation of Tamsulosin for the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ow Urin Tract Symptoms. 2012 May;4(2):96-102. doi:

    10.1111/j.1757-5672.2012.00141.x. PubMed PMID: 26676533.

     

    6: Kim JW, Oh MM, Park MG, Park JY, Bae JH, Kim JJ, Moon DG. Combination therapy

    of testosterone enanthate and tadalafil on PDE5 inhibitor non-reponders with

    severe and intermediate testosterone deficiency. Int J Impot Res. 2013

    Jan;25(1):29-33. doi: 10.1038/ijir.2012.32. PubMed PMID: 22971615.

     

    7: Kim JH, Park JY, Oh MM, Lee JG, Kwon SS, Bae JH. Treatment satisfaction with

    low-dose tamsulosin for symptomatic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results from a

    multicentre cross-sectional survey. Int J Clin Pract. 2012 Dec;66(12):1209-15.

    doi: 10.1111/j.1742-1241.2012.02985.x. PubMed PMID: 23163501.

     

    8: Hwang EC, Jung SI, Kwon DD, Lee G, Bae JH, Na YG, Min SK, Son H, Lee SJ, Chung

    JM, Chung H, Cho IR, Kim YH, Kim TH, Chang IH. A prospective Korean multicenter

    study for infectious complic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prostate surgery: risk

    factors and efficacy of antibiotic prophylaxis. J Korean Med Sci. 2014

    Sep;29(9):1271-7. doi: 10.3346/jkms.2014.29.9.1271. PubMed PMID: 25246747; PubMed

    Central PMCID: PMC4168182.

     

    9: Choi H, Park JY, Kim JH, Moon du G, Lee JG, Bae JH. Primary renal hydatid

    cyst: mis-interpretation as a renal malignancy. Korean J Parasitol. 2014

    Jun;52(3):295-8. doi: 10.3347/kjp.2014.52.3.295. PubMed PMID: 25031471; PubMed

    Central PMCID: PMC4096642.

     

    10: Choi H, Kim JH, Shim JS, Park JY, Kang SH, Moon DG, Cheon J, Lee JG, Kim JJ,

    Bae JH. Comparis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5-mg once-daily versus 5-mg

    alternate-day tadalafil in men with erectile dysfunction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t J Impot Res. 2015 Jan-Feb;27(1):33-7. doi: 10.1038/ijir.2014.19.

    PubMed PMID: 24990200.

     

    11: Kim JH, Noh TI, Shim JS, Ham BK, Choi H, Bae JH, Park JY. Primary testicular

    carcinoid tumour with mature teratoma in undescended testis metastatic to lymph

    nodes. Can Urol Assoc J. 2014 Mar;8(3-4):E245-8. doi: 10.5489/cuaj.383. PubMed

    PMID: 24839491; PubMed Central PMCID: PMC4001652.

     

    12: Chae JY, Bae JH, Yoon CY, Park HS, Moon du G, Lee JG, Oh MM. Female urethral

    condyloma causing bladder outlet obstruction. Int Neurourol J. 2014

    Mar;18(1):42-4. doi: 10.5213/inj.2014.18.1.42. PubMed PMID: 24729927; PubMed

    Central PMCID: PMC3983509.

     

    13: Choi H, Kim JH, Park JY, Shim JS, Bae JH. A modified laparoscopic

    ureterolithotomy by pulling ureter with Carter-Thomason fascial closure and

    ureter incision by broken 15th blade. Scand J Surg. 2014 Feb 17;103(3):195-200.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535434.

     

    14: Shim JS, Oh MM, Lee JG, Bae JH. Anterior urethrectomy for primary carcinoma

    of the female urethra mimicking a urethral caruncle. Int Neurourol J. 2013

    Dec;17(4):197-9. doi: 10.5213/inj.2013.17.4.197. PubMed PMID: 24466468; PubMed

    Central PMCID: PMC3895513.

     

    15: Choi H, Kim JH, Park JY, Shim JS, Lee JG, Yoon HY, Bae JH. Assessment of

    sexual dysfunction and determination of its risk fa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Int J Gynaecol Obstet. 2014 Apr;125(1):60-4. doi:

    10.1016/j.ijgo.2013.10.006. PubMed PMID: 24462326.

     

     

    16: Kim JH, Park JY, Shim JS, Lee JG, Moon du G, Yoo JW, Choi H, Bae JH.

    Comparison of outpatient versus inpatient transurethral prostate resection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omparative, prospective bi-centre study. Can Urol

    Assoc J. 2014 Jan-Feb;8(1-2):E30-5. doi: 10.5489/cuaj.1370. Erratum in: Can Urol

    Assoc J. 2014 Mar-Apr;8(3-4):84. Can Urol Assoc J. 2014 Mar;8(3-4):84. PubMed

    PMID: 24454598; PubMed Central PMCID: PMC3896556.

     

    17: Chae JY, Park GY, Kim JH, Kim HJ, Bae JH, Lee JG, Moon du G, Oh MM. Points Aa

    and Ba are factors associated with pre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ystocele.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2014 Mar;174:146-9. doi:

    10.1016/j.ejogrb.2013.12.015. PubMed PMID: 24411129.

     

    18: Kim JW, Oh MM, Yoon CY, Bae JH, Kim JJ, Moon du G. Nocturnal polyuria and

    decreased serum testosterone: is there an association in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t J Urol. 2014 May;21(5):518-23. doi: 10.1111/iju.12345. PubMed

    PMID: 24286364.

     

    19: Noh TI, Shin YS, Shim JS, Yoon JH, Kim JH, Bae JH, Moon du G, Park JY. Are

    hypoechoic lesions on transrectal ultrasonography a marker for clinically

    significant prostate cancer? Korean J Urol. 2013 Oct;54(10):666-70. doi:

    10.4111/kju.2013.54.10.666. PubMed PMID: 24175039; PubMed Central PMCID:

    PMC3806989.

     

    20: Choi H, Park JY, Shim JS, Kim JH, Bae JH. Free prostate-specific antigen

    provides more precise data on benign prostate volume than total prostate-specific

    antigen in korean population. Int Neurourol J. 2013 Jun;17(2):73-7. doi:

    10.5213/inj.2013.17.2.73. PubMed PMID: 23869271; PubMed Central PMCID:

    PMC3713245.

     

    21: Kim JW, Oh MM, Yoon CY, Bae JH, Kim JJ, Moon DG. The effect of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on DNA methylation of the androgen receptor promoter in the

    penile cavernosal smooth muscle of mice. Asian J Androl. 2013 Jul;15(4):487-91.

    doi: 10.1038/aja.2013.26. PubMed PMID: 23728591; PubMed Central PMCID:

    PMC3739234.

     

    22: Choi H, Noh TI, Ham BK, Park JY, Shim KS, Bae JH.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kidney from cholangiocarcinoma. World J Mens Health. 2012

    Dec;30(3):198-201. doi: 10.5534/wjmh.2012.30.3.198. PubMed PMID: 23596614; PubMed

    Central PMCID: PMC3623539.

     

    23: Shim JS, Jeong SM, Choi H, Noh TI, Pyun JH, Kim HK, Park JY, Bae JH, Kim JH.

    Laparoscopic excision of a renal subcapsular abscess presenting as a subcapsular

    haematoma. West Indian Med J. 2014 Jan;63(1):98-100. doi: 10.7727/wimj.2012.055.

    PubMed PMID: 25303183; PubMed Central PMCID: PMC4655630.

     

    24: Kim JW, Jang HA, Bae JH, Lee JG. Effects of coenzyme Q10 on bladder

    dysfunction induced by chronic bladder ischemia in a rat model. J Urol. 2013

    Jun;189(6):2371-6. doi: 10.1016/j.juro.2012.12.101. PubMed PMID: 23306086.

     

    25: Tae BS, Ham BK, Kim JH, Park JY, Bae JH. Clinical features of mumps orchitis

    in vaccinated postpubertal males: a single-center series of 62 patients. Korean J

    Urol. 2012 Dec;53(12):865-9. doi: 10.4111/kju.2012.53.12.865. PubMed PMID:

    23301132; PubMed Central PMCID: PMC3531641.

     

    26: Kim JH, Shin SH, Oh MM, Park JY, Lee JG, Bae JH. Factors affecting transient

    urinary retention after transobturator tape mid-urethral sling surgery for female

    patients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 single center experience.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2013 May;168(1):107-11. doi:

    10.1016/j.ejogrb.2012.12.013. PubMed PMID: 23298899.

     

    27: Kim JH, Shim SR, Lee WJ, Kim HJ, Kwon SS, Bae JH.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affecting the self-perception period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of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tems. Int J Clin Pract. 2012

    Dec;66(12):1216-23. doi: 10.1111/j.1742-1241.2012.02988.x. PubMed PMID: 23163502.

     

    28: Choi H, Kim JH, Shim JS, Park JY, Kang SH, Moon du G, Cheon J, Lee JG, Kim

    JJ, Bae JH. Prediction of persistent storage symptoms after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in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enlargement. Urol

    Int. 2014;93(4):425-30. doi: 10.115

     

    29: Choi H, Kim HJ, Bae JH, Kim JH, Moon du G, Cheon J, Yeo JK. A Meta-Analysis

    of Long- Versus Short-Acting Phosphodiesterase 5 Inhibitors: Comparing

    Combination Use With α-Blockers and α-Blocker Monotherapy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Erectile Dysfunction. Int Neurourol J. 2015 Dec;19(4):237-45. doi:

    10.5213/inj.2015.19.4.237. PubMed PMID: 26739178; PubMed Central PMCID:

    PMC4703931.

     

    30: Kim JH, Shim JS, Choi H, Moon du G, Lee JG, Kim JJ, Bae JH, Park JY. Terminal

    dribbling in male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and with intravesical prostatic protrusion.

    BMC Urol. 2015 Aug 29;15:89. doi: 10.1186/s12894-015-0082-x. PubMed PMID:

    26319937; PubMed Central PMCID: PMC4552983.

     

    31: Shim JS, Choi H, Noh TI, Tae JH, Yoon SG, Kang SH, Bae JH, Park HS, Park J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 second transurethral resection for T1 high-grade

    bladder cance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Korean J Urol. 2015

    Jun;56(6):429-34. doi: 10.4111/kju.2015.56.6.429. PubMed PMID: 26078839; PubMed

    Central PMCID: PMC4462632.

     

    32: Choi H, Bae JH. Single port varicocelectomy using SILS™ multiple access port.

    Int Braz J Urol. 2015 Mar-Apr;41(2):395; discussion 396. doi:

    10.1590/S1677-5538.IBJU.2015.02.32. PubMed PMID: 26005987; PubMed Central PMCID:

    PMC4752109.

     

    33: Choi H, Sim JS, Park JY, Bae JH. Assessment of Tamsulosin 0.2 mg for

    Symptomatic Bladder Outlet Obstruction Secondary to Benign Prostatic Enlargement:

    Data from a Korean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Urol Int. 2015;95(1):50-5.

    doi: 10.1159/000366007. PubMed PMID: 25926099.

     

    34: Shim SR, Kim JH, Choi H, Bae JH, Kim HJ, Kwon SS, Chun BC, Lee WJ.

    Association between self-perception period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a propensity score matching study. BMC

    Urol. 2015 Apr 10;15:30. doi: 10.1186/s12894-015-0021-x. PubMed PMID: 25886732;

    PubMed Central PMCID: PMC4403909.

     

    35: Choi H, Park JY, Yeo JK, Oh MM, Moon du G, Lee JG, Bae JH. Population-based

    survey on disease insight, quality of life, and health-seeking behavior

    associated with female urinary incontinence. Version 2. Int Neurourol J. 2015 Mar

    [revised 2015 Jan 1];19(1):39-46. doi: 10.5213/inj.2015.19.1.39. PubMed PMID:

    25833480; PubMed Central PMCID: PMC4386485.

     

    36: Choi H, Bae JH, Shim JS, Park JY, Moon du G, Lee JG. Mirodenafil prevents

    bladder dysfunction induced by chronic bladder ischemia in rats. Int Neurourol J.

    2015 Mar;19(1):19-26. doi: 10.5213/inj.2015.19.1.19. PubMed PMID: 25833477;

    PubMed Central PMCID: PMC4386487.

     

    37: Kim JW, Oh MM, Bae JH, Kang SH, Park HS, Moon du G.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acute prostatitis and transrectal

    prostate biopsy-related acute prostatitis: Is transrectal prostate biopsy-related

    acute prostatitis a distinct acute prostatitis category? J Infect Chemother. 2015

    Jun;21(6):434-7. doi: 10.1016/j.jiac.2015.01.014. PubMed PMID: 25701308.

     

    38: Choi H, Kim YH, Bae JH. Quality of life and changes in symptom relief in

    patients with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treated with antibiotics: a

    prospective, open-label,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015 Jun;34(6):1119-24. doi: 10.1007/s10096-015-2329-6. PubMed PMID:

    25655756.

     

    39: Choi H, Bae JH. Laparoscopic single port cystolithotomy using pneumovesicum.

    Int Braz J Urol. 2016 Sep-Oct;42(5):1047-1048. doi:

    10.1590/S1677-5538.IBJU.2015.0337. PubMed PMID: 27763742.

     

    40: Shim JS, Kim JH, Choi H, Park JY, Bae JH. Diagnostic Tool for Assessing

    Overactive Bladder Symptoms: Could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torage

    Subscore Replace the Overactive Bladder Symptom Score? Int Neurourol J. 2016

    Sep;20(3):209-213. PubMed PMID: 27706011; PubMed Central PMCID: PMC5083829.

     

    41: Choi JH, Lee SH, Bae JH, Shim JS, Park HS, Kim YS, Shin C. Effect of Sleep

    Deprivation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in Rats. J Korean Med Sci. 2016

    Oct;31(10):1624-30. doi: 10.3346/jkms.2016.31.10.1624. PubMed PMID: 27550492;

    PubMed Central PMCID: PMC4999406.

     

    42: Choi H, Bae JH. Overview of the Epidemiology of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in South Korea. Int Neurourol J. 2016 Jun;20(2):91-100. doi:

    10.5213/inj.1630502.251. Review. PubMed PMID: 27377940; PubMed Central PMCID:

    PMC4932641.

     

    43: Shim JS, Kang SG, Park JY, Bae JH, Kang SH, Park HS, Moon du G, Cheon J, Lee

    JG, Kim JJ, Oh MM. Differences in Urodynamic Parameters Between Women With

    Interstitial Cystitis and/or Bladder Pain Syndrome and Severe Overactive Bladder.

    Urology. 2016 Aug;94:64-9. doi: 10.1016/j.urology.2016.04.018. PubMed PMID:

    27130264.

     

    44: Shim JS, Kim DH, Bae JH, Moon du G.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on

    Erectile Dysfunction in a Rat Model of Atherosclerosis-induced Chronic Pelvic

    Ischemia. J Korean Med Sci. 2016 Apr;31(4):585-9. doi:

    10.3346/jkms.2016.31.4.585. PubMed PMID: 27051243; PubMed Central PMCID:

    PMC4810342.

     

    45: Yeo JK, Choi H, Bae JH, Kim JH, Yang SO, Oh CY, Cho YS, Kim KW, Kim HJ.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vestig

    Clin Urol. 2016 Jan;57(1):30-44. doi: 10.4111/icu.2016.57.1.30. Review. PubMed

    PMID: 26966724; PubMed Central PMCID: PMC4778754.

     

    46: Shim JS, Bae JH. Drug Concentration in Rat Plasma, Bladder, and Prostate

    After Mirodenafil Administration in a Chronic Pelvic Ischemia Model. Urology.

    2016 May;91:244.e1-5. doi: 10.1016/j.urology.2016.02.017. PubMed PMID: 26919966.

     

    47: Choi H, Park JY, Bae JH. Initial experiences of laparoscopic intravesical

    detrusorraphy using the Politano-Leadbetter technique. J Pediatr Urol. 2016

    Apr;12(2):110.e1-7. doi: 10.1016/j.jpurol.2015.07.014. PubMed PMID: 26750185.

     

    48: Choi H, Chung H, Park JY, Lee JG, Bae JH. The Influence of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on Prostate Size and Voiding Symptoms in Prostate Cancer Patients in Korea.

    Int Neurourol J. 2016 Dec;20(4):342-348. doi: 10.5213/inj.1632628.314.

    Epub 2016 Dec 26. PMID: 28043112

     

    49: Tae BS, Choi H, Bae JH. Letter to the Editor: Commentary on "Evidence Is Enough?: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Tamsulosin 0.2 mg

    and Tamsulosin 0.4 mg as an Initial Therapeutic Dose in Asia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Patients". Int Neurourol J. 2017 Sep;21(3):229-230. doi: 10.5213/inj.1734962.481.

    Epub 2017 Sep 12. PMID: 28954466

     

    50. Chae JY, Bae JH, Lee JG, Park HS, Moon DG, Oh MM. Effect of Preoperative

    Low Maximal Flow Rate on Postoperative Voiding Trials after the Midurethral Sling

    Procedure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Low Urin Tract Symptoms.

    2017 Jun 2. doi: 10.1111/luts.12170. PMID: 28573832

     

    51. Cho S, Kwon SS, Lee KW, Yoo TK, Shin DG, Kim SW, Bae JH, Choi H, Kim YH.

    A multicenter real-life study of the efficacy of an alpha-blocker with or without

    anticholinergic agent (imidafenacin) treatment in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nd storage symptoms. Int J Clin Pract. 2017

    May;71(5). doi: 10.1111/ijcp.12938. PMID: 28508455

     

    52. Choi H, Cho S, Bae JH, Lee SE, Hong SK, Moon DG, Cheon J, Byun SS, Park JY.

    Characteristics of Prostate Cancer by Opportunistic Screening in Korean Men with

    a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 Less Than 4.0 ng per Milliliter. Urol Int. 2017;99(2):143-148.

    doi: 10.1159/000454886. PMID: 28395285

     

    53. Shim JS, Chae JY, Kang SG, Park JY, Bae JH, Kang SH, Park HS, Moon DG,

    Cheon J, Lee JG, Kim JJ, Oh MM. Can Listening to Music Decrease Pain, Anxiety,

    and Stress During a Urodynamic Study?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Urology. 2017 Jun;104:59-63. doi: 10.1016/j.urology.2017.02.035.

    PMID: 28257916

     

    54. Kim HJ, Sun HY, Choi H, Park JY, Bae JH, Doo SW, Yang WJ, Song YS, Ko YM, Kim JH.

    Efficacy and Safety of Initial Combination Treatment of an Alpha Blocker with an

    Anticholinergic Medication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Updated Meta-Analysis. PLoS One. 2017 Jan 10;12(1):e0169248.

    doi: 10.1371/journal.pone.0169248. eCollection 2017. Review. PMID: 28072862

     

    55. Park JY, Yoon S, Park MS, Choi H, Bae JH, Moon DG, Hong SK, Lee SE, Park C, Byun SS.

    Development and External Validation of the Korean Prostate Cancer Risk Calculator for

    High-Grade Prostate Cancer: Comparison with Two Western Risk Calculators in an Asian Cohort.

    PLoS One. 2017 Jan 3;12(1):e0168917. doi: 10.1371/journal.pone.0168917.

    eCollection 2017. Erratum in: PLoS One. 2017 Apr 6;12 (4):e0175606. PMID: 28046017

     

  • Research

    Research Topic
    Medical Treatment of OAB, BPH/LUTS, BPS/IC
    Surgical Treatment of SUI, POP
    Laparoscopic Transvesical Surgeries (Pneumovesical Operations)
    Surgery of Extremely Difficult Unusual Cases
    Functional Preservation Surgeries

     

    관심분야
    과민성방광, 전립선비대증/하부요로증상, 방광통증후군/간질성방광염
    요실금, 방광류, 골반질탈출증의 수술적 치료
    방광내 복강경 수술
    고난이도 희귀 증례 수술
    비뇨기계 장기 기능 보존 수술

     

    Recent Reserches (2018)

    1 : Correlation of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with 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Tae BS, Jeon BJ, Shin SH, Choi H, Bae JH, Park JY.

    Cancer Res Treat. 2018 Jul 18. doi: 10.4143/crt.2018.119.

     

    2 : Does mirabegron relieve ureteral stent-related discomfort?: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study.

    Tae BS, Cho S, Jeon BJ, Choi H, Park JY, Cho SY, Lee KC, Bae JH.

    BJU Int. 2018 May 26. doi: 10.1111/bju.14416. 

     

    3 : Serum Testosterone Level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and Transitional Prostate Volume.

    Shim JS, Kim JH, Yoon YS, Choi H, Park JY, Bae JH.

    Low Urin Tract Symptoms. 2018 May;10(2):143-147. doi: 10.1111/luts.12150.

     

    4 : Clinical Efficacy of Solifenacin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Associated Versus Idiopathic Overactive Bladder Symptoms: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Choi H, Bae JH, Oh CY, Jeong SJ, Ko WJ, Choi JB, Seo JT, Lee DH, Kim JC, Lee KW, Kim YH.

    Int Neurourol J. 2018 Mar;22(1):51-57. doi: 10.5213/inj.1834982.491. 

     

    5 : The effects of a heating pad on anxiety, pain, and distress during urodynamic study in the female patients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Kim JW, Kim HJ, Park YJ, Kang SG, Park JY, Bae JH, Kang SH, Park HS, Moon DG, Cheon J, Lee JG, Kim JJ, Oh MM.

    Neurourol Urydyn2018 Mar;37(3):997-1001.

     

    6 : Efficacy and safety of tamsulosin 0.4 mg single pills for treatment of Asian patients with symptomatic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3 trial.

    Chung JH, Oh CY, Kim JH, Ha US, Kim TH, Lee SH, Han JH, Bae JH, Chang IH, Han DH, Yoo TK, Chung JI, Kim SW, Jung J, Kim YI, Lee SW.

    Curr Med Res Opin. 2018 Apr 12:1-9. doi: 10.1080/03007995.2018.1447451.

     

    7: Laparoscopic Approach for Intravesical Surgery Using Pneumovesicum in Urology: Literature Review.

    Tae BS, Choi H, Park JY, Bae JH.

    Int Neurourol J. 2018 Jan;22(Suppl 1):S10-22. doi: 10.5213/inj.1836022.011.

     

  • News Media

    [헬스가이드-요실금]중년여성 45%가 겪는 남모를 수치

    기사입력 2018-06-28 13:00:11
     

    배재현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요실금은 정확한 검사를 바탕으로 형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요실금의 진단은 우선 병력 청취, 신체검사를 통한 신경학적 이상 유무, 과거의 수술력, 분만 횟수 등을 조사한다. 이후 소변검사를 통해 일시적으로 요실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로감염이 있는지도 확인하게 된다. 진단을 위한 소변검사에는 배뇨일지, 패드검사, 요역동학 검사 등이 이용된다.

    우선 배뇨일지는 일상의 활동 중 일어나는 배뇨형태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배뇨 횟수, 배뇨량, 요절박 정도를 보통 3일 동안 기록한다. 작성된 배뇨일지를 통해 환자의 배뇨 증상을 평가할 수 있고 야간뇨의 원인도 분석할 수 있다. 
    패드검사는 일정한 시간 동안 패드를 착용한 후 신체활동을 하고 패드 무게를 측정해 소변이 새는 양을 측정하는 검사다. 1시간 패드 검사에서 2g 이상의 소변이 새면 요실금으로 판정한다.
    요역동학검사는 신경학적 원인에 의한 요실금이 의심될 때, 이전에 요실금으로 수술을 받았으나 증상이 재발한 경우,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요실금인 경우, 이전에 직장암이나 자궁암으로 수술을 받았던 경우 등을 고려하게 된다. 

     

    형태별 치료법 및 예방법

    복압성 요실금: 골반근육운동이나 행동치료 등을 먼저 시행해 보고 효과가 없을 경우 중부요로슬링 수술을 고려해 본다.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로 중부요도슬링 수술이 매우 효과적인데, 그물망 모양의 인체용 실을 중부요도에 걸어 복압이 올라 갈 때 소변이 새지 않도록 해 준다.

    절박성 요실금: 하부 요로 기능에 대한 환자 교육, 수분섭취 조절, 방광 훈련 등 행동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할 경우 약물치료를 한다.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에서의 콜린성 기전의 활성이 방광의 수축과 빈뇨 및 요 절박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하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해 항콜린제를 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방광평활근을 직접 이완시켜주는 베타3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가 많이 사용된다. 

    혼합성 요실금: 일반적으로 환자가 더 불편해 하는 증상을 먼저 치료한다. 복압성 요실금을 먼저 치료하면 75% 정도는 절박성 요실금도 동시에 호전된다. 

    범람성 요실금일 경우 방광의 수축을 촉진하는 콜린성약제와 소변 배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알파차단제로 치료할 수 있고,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청결 간헐도뇨를 시행한다.
     

    이하나 과장은 "증상이 심한 복압성 요실금은 수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며 "20분 수술로 90% 완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심하지 않은 요실금의 경우,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골반근육운동이 도움이 된다.  김세웅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출산 이후 꾸준한 골반근육 운동을 통해 복압성 요실금을 예방할 수 있다"며 "수분섭취를 지나치게 많이 할 경우 빈뇨, 야간뇨나 절박뇨 등으로 인해 요실금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섭취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다리를 꼬는 자세는 방광을 자극하고, 장시간 앉아있는 경우 골반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잔뇨감이 생길 수 있으므로, 평소 허리를 곧게 펴는 자세를 유지하고 한 번씩 일어나서 스트레칭을 하라"고 덧붙였다. 요실금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의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방광을 자극하는 커피와 홍차 등 카페인이 함유된 제품, 지나치게 맵고 짠 음식, 신 맛이 강하게 나는 주스나 과일, 알코올과 탄산음료, 초컬릿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배재현 교수는 "체중조절이 요실금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되므로 저칼로리 음식을 통해 체중조절을 하는 것이 좋다"며 "변비로 인해 압력이 증가되는 것이 요실금에 좋지 않기 때문에, 섬유소를 충분히 섭취해 변비를 예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여성호르몬이 요실금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여성호르몬을 대신할 수 있는 이소플라본 성분이 포함돼 있는 검은 콩류가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했다.  만성신부전증이나 당눼의 경우 소변량이 증가하여 일시적으로 요실금이 악화될 수 있다. 지나친 수분 섭취는 요실금을 악화 시킬 수 있지만, 매일 6~8잔 정도의 적절한 수분 섭취는 방광 건강과 변비 예방에 좋다.

     

    "전립선비대증 환자, 고령일수록 전문가 진료 안 받는다"

    2017/12/18 15:03
    대한비뇨기과학재단, 전립선비대증 환자 16만3천명 실태 발표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인구 고령화로 중년 남성질환인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고령일수록 전문가의 진료를 받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50대 미만 환자의 경우 대부분 비뇨기과 전문의를 찾지만 80대 이상은 2명 중 1명만이 비뇨기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뇨기과학재단은 배재현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바탕으로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16만2천773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전립선비대증은 주로 50대 이상 남성이 흔히 겪는 배뇨장애 질환이다. 보통 젊은 남성의 전립선 용적은 20cc 정도지만 나이가 들면 조금씩 커져 전립선의 가운데를 통과하는 요도를 압박해 소변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게 한다. 비대해진 전립선으로 인해 소변을 보기 힘들고 소변을 본 후 잔뇨감, 빈뇨, 절박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립선비대증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2만3천903명으로 2005년 3천776명 대비 6배 이상 규모로 증가했다.  그러나 고령의 전립선비대증 환자 대수가 비뇨기과가 아닌 다른 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기준 기준으로 50대 미만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85.3%가 비뇨기과 진료를 받고 있었던 반면 80대 이상은 절반 정도인 49.7%만이 비뇨기과 전문의로부터 전립선 관련 약물을 처방받았다.

     

    연구팀은 고령의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경우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아 비뇨기과가 아닌 다른 과 병원을 방문해 전립선 치료약물을 동시에 처방받기 때문으로 추측했다.  실제 전립선비대증 치료를 받는 환자의 53%는 고혈압, 당뇨병 등 다른 만성질환 약물을 1개 이상 복용하고 있었다.  진료과별 전립선비대증 약물의 처방 비율에서도 타과 전문의 중 내과가 58.4%로 가장 높았다. 이어 피부과(8.3%), 가정의학과(8%), 외과(7.2%) 등의 순이었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비뇨기과 전문의가 아닌 다른 과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복합적인 전립선 증상을 치료하기 어려운 데다 오래전에 출시된 의약품 처방이 대부분이어서 효과를 보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 비뇨기과 전문의와 타과 전문의의 처방률을 분석한 결과, 타과의 경우 최근에 출시된 전립선 선택적 알파차단제나 배뇨장애 증상 개선을 위한 약물 처방은 25%에 불과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배 교수는 "전립선비대증은 빈뇨, 절박뇨, 야간뇨 등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할 뿐 아니라 요폐, 요로감염, 방광결석, 신장기능 저하 등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며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나이와 증상을 고려한 환자 맞춤형 전문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년 남성의 삶의 질 저하시키는 ‘전립선비대증’

    쿠기뉴스  /  2017.02.24 10:30:12 | 수정 : 2017.02.24 10:30:16

    내용 (Normal)[쿠키뉴스=송병기 기자] 중년을 넘어선 남성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대표 질환 중 하나가 ‘전립선비대증’이다. 특히 이 질환은 60세에서 69세 남성 2명 중 1명꼴로 진단되는 흔하다. 특히 50세 이후 남성이 일생동안 전립선비대증으로 수술을 받을 확률은 약 10~25%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전립선비대증 발생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30~40대 남성들도 전립선비대증으로부터 안심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호르몬 기관이다. 호두 알 크기로 방광 바로 아래에 위치해 요도를 둘러싸고 있다. 전립선은 정액의 일부를 생성해 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전립선은 남성 성기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데 전립선의 양쪽에는 사정관이 요도와 연결돼 있으며 정액의 30~40%가 생성된다. 전립선의 조직에서 만들어지는 유백색의 분비물은 정액 냄새를 일으키는 물질로 이 분비물이 정자의 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광출구를 둘러싸고 있는 전립선이 비대해지면 우선 그 부위를 압박해 요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방광에서 나오는 오줌줄기가 가늘어지고, 잔뇨가 남음으로 인해 잔뇨감, 배뇨후 요점적 등의 소변 배출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차적으로 방광조직의 변화를 야기함에 따라 소변을 잘 참지 못하는 절박뇨, 빈뇨 등의 저장증상 또한 나타날 수 있다. 중년을 넘어선 남성들이 주·야간 빈뇨를 호소하고, 소변줄기가 가늘어 졌다고 병원을 찾는 이유다.또한 지속적인 폐색에 의해 만성 요폐가 유발되고 심하면 방광이 과팽창돼 방광기능의 회복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드물게 지속적인 요폐로 방광결석이나 방광게실 형성, 신기능상실, 요로감염 및 신우신염 등의 결과도 초래될 수 있다.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 교수는 “따라서 전립선비대증은 건강과 남성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어 조기발견과 치료가 필수”라고 강조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가 필요하다.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는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전립선을 촉진하는 직장수지검사다. 이 밖에도 요류측정 검사, 소변검사, 전립선특이항원검사, 경직장초음파검사, 요도경 및 방광경검사등을 통해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하고 전립선암을 감별 할 수 있다.치료는 비대된 전립선 크기를 줄이거나 요도에 대한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환자의 고통을 덜고 부작용을 줄여주는 새로운 치료법이 잇따라 개발되고, 시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치료방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립선, 방광상태, 증상정도, 나이 등 환자의 상태와 선호도에 따라 치료방법을 결정하면 된다고 조언한다. 배재현 교수는 “빈뇨, 잔뇨감 등의 배뇨장애가 지속되면 악화되어 다른 합병증이 나타나기 전에 신속히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며 “전립선비대증을 조기에 치료하면 고통을 최소화하고 삶의 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남성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검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ongbk@kukinews.com

     

    [건강한 가족]

    특성화 병원탐방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

    중증 비뇨기 환자의 희망... 국내 최소침습수술 선도

    ___

    중앙일보  /  입력 2017.02.13 00:02

    중증환자 비율은 병원의 질을 가늠하는 지표다. 실력이 뛰어난 병원에 중증환자가 몰려서다. 고대안산병원(상급종합병원) 비뇨기과에 해당하는 얘기다. 이곳의 중증환자 비율은 상급종합병원 기준(17%)을 훨씬 웃도는 60%에 달한다. 지역에서 환자가 마지막에 찾는 병원이라는 의미다.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는 지난 한 해 1000여 건의 수술 대부분을 복강경·내시경·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으로 시행했다. 환자 중심의 철학, 젊은 의료진의 열정이 결합된 결과다. 지역을 넘어 국내 비뇨기과 질환자의 마지막 희망이 되고 있는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를 찾았다.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의 역사는 1985년 병원 개원과 함께 시작됐다. 98년 고대안산병원장이던 조재흥(전 대한비뇨기과학회 이사장) 교수는 체외충격파 쇄석기, 초음파기, 레이저 열 치료기(Laserthermia) 등 당시 신형 장비에 과감히 투자해 비뇨기과 발전의 기틀을 세웠다. 고대안산병원은 고대의료원 산하 3개 병원 중 유일하게 비뇨기과 전용 실험실을 갖춘 곳이기도 하다. 임상과 연구라는 ‘양 날개’를 달며 비뇨기과는 전국적인 명성을 쌓았다. 현재 비뇨기과는 30~40대 교수·전공의 등 5명의 의료진이 진료를 담당하고 있다. 각자 개인적인 일정을 공동 스케줄에 공유할 만큼 관계가 끈끈하다. 젊음과 열정, 팀워크는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를 작지만 강한 ‘히든 챔피언’으로 성장시킨 원동력으로 꼽힌다. 비뇨기과 의료진이 지난 5년간 발표한 SCI 급 논문은 47편에 달한다. 의료진 대상 강연은 56차례 진행했다. 1주일에 한 번 이상 같은 분야 의료진에게 수술을 비롯한 최신 의학 정보를 소개할 만큼 남다른 노하우를 갖췄다는 평가다. 지난해 병원에 첨단 의료장비인 수술용 로봇(다빈치)을 도입하고, 현재까지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많은 수술을 진행하는 곳도 바로 비뇨기과다.

     

    복강경·로봇 등으로 최소절개수술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는 첨단외과를 지향한다. 현미경·내시경·레이저·로봇 등 다양한 첨단 장비를 활용해 환자를 치료한다. 수술의 초점은 환자 중심의 최소침습과 최소절개에 맞춰진다. 그 중심에 비뇨기과 과장인 배재현 교수가 있다. 개복수술이 주를 이뤘던 2000년대 초, 임상강사(펠로)였던 그는 자비로 일본 도카이(東海)대를 찾아 복강경 수술을 배워 왔다. 고대의료원 비뇨기과 의료진 중 복강경 수술을 최초 도입한 사람이 배 교수다. 그는 “비뇨기과에서도 복강경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부각될 것이란 확신이 있었다”며 “선도적으로 도입한 덕에 지금은 대부분의 수술에서 개복수술 못지않은 치료 성적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자신감은 2015년 6월, 고대안산병원 최초로 진행한 수술 생중계(라이브 서저리)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의료진 대상의 라이브 서저리를 진행하려면 수술 실력과 독창성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배 교수가 진행한 수술은 소변이 역류하는 5세 여아를 대상으로 한 ‘복강경하 경방광 항역류 수술’이었다.보통 배를 4~5㎝ 절개한 후 방광쪽 요관을 잘라 안쪽으로 깊숙이 밀어 넣는 방식으로 치료하는데, 이 경우 흉터가 크게 남고 방광 주변의 배뇨조절 신경이 손상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배 교수는 다른 방법을 택했다. 방광에 공기를 주입한 후 5㎜ 구멍 3개를 뚫어 복강경을 넣은 뒤 안에서 요관을 잡아당겨 경로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치료에 성공했다. 지난해 이 수술법을 담은 논문은 SCI급 국제 학술지 ‘소아비뇨기과학지(Journal of Pediatric Urology)’에 실렸다.

     

    최 교수는 최근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인 정계정맥류를 치료하는 수술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기도 했다. 보통 정계정맥류 치료는 발생 위치에 따라 서혜부(배와 허벅지 경계)를 2~3㎝ 절개한 뒤 고환에 접근해 막힌 정맥을 잘라 치료한다. 최 교수의 수술법은 배꼽에 구멍을 하나만 뚫고 이곳에 복강경을 삽입해 정맥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미용 효과는 물론 근육 손상을 줄일 수 있어 통증 등 환자 부담이 적다. 그는 “양측성 정계정맥류도 동시에 치료가 가능하다”며 “또 병이 재발해도 서혜부를 다시 절개할 필요가 없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전립선암 위험도 계산해 수술 여부 결정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의 환자 중심 의료는 적정 진료와 맞춤형 치료로 완성된다. 6개 과가 참여하는 다학제 진료를 통해 암환자에게 꼭 필요한 치료를 신속·정확히 결정하도록 시스템을 갖췄다. 암이라고 섣부르게 수술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전립선암이 대표적이다. 박재영 교수는 “수년 전부터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의 경우 생존율이 수술 여부와 연관이 적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며 “미국·유럽의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에도 저위험일 경우 적극적인 관찰(3개월 단위 혈액검사)을 권고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2010년 국내 최초로 ‘한국인 전립선암 위험도 계산기’, 2016년 ‘고위험 전립선암 위험도 계산기’를 각각 개발해 온라인에서 환자가 언제든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하기도 했다. 불필요한 수술, 과잉 진단을 줄이자는 취지에서다. 박 교수는 “실제로 혈액검사(전립선 특이 항원·PSA) 수치가 암인 것으로 나와도 조직검사에서 암으로 확진되는 비율은 25%에 그친다”며 “전립선암 위험도 계산기는 수천 명의 데이터를 입력해 신뢰성을 검증받은 프로그램으로, 일반인도 PSA, 전립선 크기 등 검사 수치만 알면 쉽게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내시경·로봇 수술로 신장 이식, 암 치료 비뇨기과 영역 넓다

    중앙일보   /  2017 02 13  /  박정렬 기자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 과장 인터뷰

    비뇨기과 진료 영역은 어떤 과(科) 못지않게 넓고 깊다. 성기능·배뇨장애는 물론 신장이식, 암 치료 등 중증환자 치료도 이곳에서 이뤄진다.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사진) 과장은 “미국에서는 4년간 외과 수련을 받고 4년을 더 훈련해야 비뇨기과 전문의 자격을 얻을 만큼 전문적인 분야”라고 강조했다.

     

    Q 비뇨기과의 진료 영역이 의외로 넓다.

    “비뇨기과에서 다루는 장기만 신장, 신우·요관 등 분비관, 방광, 요도, 전립선, 성기 등 다양하다. 장기마다 암·결석 등 여러 질환이 발생하고 이를 치료하는 데 현미경·내시경·복강경·레이저·로봇 등 수많은 장비를 활용한다. 높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진료과다.”

     

    Q 비뇨기과=남성과'란 인식이 강하다.

    “우리 어머니조차 신장이식 수술을 한다면 ‘누가 그걸 시켰느냐’고 묻는다. 성기 확대, 성병 치료를 위한 곳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다. 비뇨기과 전문의는 누구나 신장·방광 절제 등 고난도 수술을 배우고 익힌다. 다만 관련 장비가 고가이고, 수술 비용(수가)이 낮아 개원 시 남성 문제만 다루는 곳이 많을 뿐이다. 열심히 노력해도 얻는 것이 적고 다루는 환자가 제한적이니 의사가 느끼는 괴리감이 크다. 비뇨기과 전공의가 감소하는 이유다. 비뇨기 질환은 장년층의 삶의 질뿐 아니라 생명까지 좌우할 수 있다. 대중의 인식 개선과 수가 개선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

     

    Q 비뇨기과 치료 장비가 다양한 이유는.

    A“상급종합병원은 일반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환자를 맡는 곳이다. 우리 병원의 경우 환자 10명 중 6명이 암, 신장 협착 등 중증환자다. 대부분 내시경·복강경·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로 치료하고 있다. 통증과 흉터가 적고 환자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 때문이다. 환자에게 더 큰 혜택이 돌아가도록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도입한 수술용 로봇(다빈치)은 원래 비뇨기과 수술을 위해 개발된 장비다. 예컨대 전립선은 골반 안쪽에 있어 절개수술로는 확인조차 어렵고, 내시경(복강경) 수술로는 수술 후 봉합이 까다로운데 로봇수술은 이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면서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다.”

     

    Q 의료진이 다른 병원보다 젊은 편이다. 장점이 있나.

    “내시경(복강경) 수술은 젊은 의료진일수록 익숙하다. 전공의 수련 때부터 배우고 활용해 왔다. 그만큼 응용력이 높고, 손떨림이 적어 보다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로봇수술도 병원 내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다. 만일 치료 성적이 나빴다면 환자가 가까운 서울로 가지 우리 병원을 찾지 않을 것이다. 환자의 기대에 보답하려고 열정적으로 진단·치료법을 연구개발하는 것도 젊은 의료진의 강점으로 꼽고 싶다.”

     

    여성들 난처하게 만드는 ‘요실금’… 과로 피하고 규칙적 운동으로 예방하세요

    국민일보  /  2017 1 15  /  송병기 기자

    영하의 날씨가 이어지는 겨울철에는 요실금 환자들은 더 괴롭습니다. 추운 날씨 때문에 땀 배출이 줄고 소변량이 늘어납니다. 또한 급격한 온도변화로 방광 과수축 현상으로 증세가 악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 일시적 요실금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복압성 요실금이 가장 흔합니다. 격한 운동을 하거나 웃거나 기침할 때, 배에 힘이 들어갈 때 나도 모르게 소변이 새어 나오는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골반과 방광 근육 탄력성이 점점 떨어지면서 요실금의 발병위험이 커지고, 증세가 나타나도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산 이후 40∼50대 폐경기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병하며, 정확한 검사를 바탕으로 요실금 형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수입니다. 또한 겨울철 전립선 비대증, 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여성뿐만 아니라 어린아이에서부터 성인 남성까지 전 연령에서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배재현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출산 이후 꾸준한 골반 근육운동을 통해 복압성 요실금을 예방할 수 있다. 카페인 함량이 높은 음식은 방광을 자극해 이뇨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녹차와 같은 음식과 더불어 흡연과 알콜 섭취, 운동량 감소로 인한 비만, 기침을 유발하는 감기나 폐렴 등이 요실금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배 교수는 “제때 요실금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쳐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특히 대인기피증과 우울증까지 발생할 수 있어 사전 예방과 적절한 필요가 꼭 필요한 질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본인 신체조건에 맞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와 과로를 피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수분섭취를 지나치게 많이 할 경우 빈뇨, 야간뇨나 절박뇨 등으로 인한 요실금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분섭취가 필요합니다. 식이요법을 병행하고 평소 요실금을 악화하는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치료시기가 늦춰지지 않도록 증세가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기획탐방]"우리에겐 교수특별법이 필요하다"

    출처 및 날짜 (Heading 6)청년의사   /   2015-04-13 12:40:42

    어느 오후, 편집국에 ‘의국탐방’을 요청하는 전화가 왔다. 여러 이유로(?) 이런 요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밀려있는 탐방을 끝내면 취재를 가겠다’며 심드렁하게 답했다. 그런데 얘기를 듣다보 니 자신들은 전공의는 전혀 없고 의국에 교수들만 있다고 하는 것이 아닌가. 전공의가 전혀 없음 에도 자신들은 ‘수술 및 연구 실적도 뛰어나다’며 의국탐방, 아니 교실탐방을 신청한 것이다.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에서 근무하는 배재현 과장과 박재영, 최훈, 심지성 교수를 찾아가 그 비결(?)을 들어봤다.

     

    양광모 : 원래 의국탐방 코너는 전공의들 대상으로 진행되는 코너인데, 교수들이 신청해서 좀 당 황스러웠다. 어떻게 신청하게 된 것인가.

    박재영 : 의국이라는 것이 원래는 공간적 개념 아닌가. 교실이라고 하기에도 좀 웃기고 해서 우리 는 ‘의국’이라고 부른다. 어쨌든 우리의 주장에 낚여서 여기 온 것 아닌가. (웃음)

    양광모 : 사실 자신들을 소개하는 내용이 너무 특이했다. ‘젊은 교수들이 의기투합해 매일 즐거운 시간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소개했는데, 실제로도 젊은 것 같다. (웃음) 그 중에서 가장 젊으신 심 지성 교수께 먼저 묻겠다. 전공의가 없어서 고달프지 않은가.

    심지성 : (웃으며) 비뇨기과가 언제부턴가 비인기과가 됐다. 적어도 당분간은 지원자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이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업무 형태도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양광모 : 사실 비뇨기과는 시술(procedure)이 상당히 많은 과다. 전공의들이 이런 업무를 어느 정 도 해결해 줘야 좀 편하지 않나.

    최훈 : 물론 편하게 지내려면 그렇다. 하지만 없어도 지내는데 큰 문제는 없다. 요관 스텐트의 경 우는 교수들이 직접 해결한다. 전립선조직검사, 방광내시경 등도 마찬가지로 직접 하고 있다. 다 만 경피 신루 설치술(Percutaneous Nephrotomy, PCN)은 영상의학과에서 도와주고 있다.

    양광모 : 전공의 인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술과 연구 실적이 좋은 편이라고 했는데, 어느 정도 인가.

    박재영 : 2010년 이후에 우리가 제출한 SCI 논문만 60여건 정도 된다. 또 해마다 수술 실적이 늘 고 있다. 2012년에는 700건의 수술 실적을 보였는데, 2014년에는 900건 정도가 됐다. (국소마 취를 포함한 것인가란 질문에) 아니다. 전부 전신마취로 시행한 수술들이다.

    배재현 : 이렇게 이야기하면 굉장히 간단한 수술만 하는 것 아니냐 생각하기 쉽다. 일부 병원에서 는 수술 건수를 늘리기 위해 간단한 스텐트 교체도 입원시켜 마취후 수술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 데, 우리는 그렇게 실적을 만들기 위해 애쓰지 않는다. (웃음) 우리 병원은 상급종합병원이라 각과 의 중증도를 평가하는데, 전체 평균보다 비뇨기과가 꽤 많이 높다. (얼마인가 묻자) 중증도가 50% 를 넘는다.

    양광모 : 원래 상급종합병원 기준이 중증도 30%로 알고 있다. 그런데 비뇨기과는 중증도가 50% 라는 말인가. 정말 놀랍다.

    박재영 : 다른 병원의 비뇨기과에서는 급성신우신염과 같이 상대적으로 경증 질환을 입원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우리는 수술할 환자만 입원시키고 있기 때문에 생긴 결과다.

    양광모 : 중증도가 그렇게 높으면서 수술건수도 늘고 있다는 것은 업무량이 상당하다는 말인데. 배재현 : 솔직히 편하지는 않다. 전공의가 있으면 더 잘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들기도 한다. 그렇다 고 별 의욕이 없는 전공의를 ‘모실’ 생각은 전혀 없다. 자신이 정말 뭔가 도전하고 배우고 싶은 열 정이 있다고 하면 모를까. (웃음) 물론 그 덕에 지금은 서로의 수술에 어시스트 들어가는 경우가 많긴 하다. 가끔 내가 어시스트 들어가야 할 때 늦으면 박 교수는 화를 내기도 한다. (이 대목에서 박 교수는 작년도 아닌 몇 년 전 이야기라며 손사래 쳤다) 하지만 여기 교수들이 나이가 다 비슷하 다보니 서로 의지하면서 지내게 되는 것 같다.

    양광모 : 당일입원(Day surgery)과 같은 것도 운영하고 있는가.

    배재현 : 전공의들이 있을 때는 운영을 했는데, 지금은 가급적 운영하지 않으려고 한다. 입퇴원 전 후로 작성해야하는 서류도 있고 환자들 얼굴을 보고 설명해야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요관 스텐트는 당일입원으로 하되 나머지 수술들을 잘 설명해서 1박 2일 입원하는 것으로 돌리고 있다.

    양광모 : 사실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보니 학회 가는 것도 눈치 보이겠다.

    최훈 : 자유롭게 가고 싶은 학회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대한 원하는 학회에 갈 수 있도록 서로 도와주고 있다. 물론 동시에 여러 사람이 해외학회에 가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국내학회는 얼마든지 갈 수 있다.

    양광모 : 원래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는 젊은 교수만 있었나.

    배재현 : 그렇진 않다. 과거에는 나이 많으신 교수님들이 많았다. 기존에 계시던 교수님들이 2010 년에는 안암병원 등으로 옮겨 가시게 됐고, 현재는 내가 과장을 맡고 있다. 교실원들이라고 해봤 자 네 명밖에 안되는데다가 다들 나이가 비슷해 서로 의지하고 도우며 지내는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안산병원 비뇨기과는 너무 잘(?) 굴러가는 것 같았다. 전공의가 없음에도 별 문제 가 없다는 말의 진위도 미심쩍었다. 때마침 저녁 식사 때가 됐기에 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소주잔 을 기울이며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듣기로 했다. 심지성 교수는 대학원 강의가 있어 이 자리에는 참석하지 못했다.

     

    양광모 : 보니까 비뇨기과에 인턴선생이 한 명이다. 인턴이 휴가를 가면 바로 교수들에게 연락이 올 것 같다. 예를 들어 중심정맥관 제거 같은 연락도 오지 않나.

    배재현 : (웃으며) 자주 있는 일은 아니지만, 아주 가끔 그런 일이 생긴다. 그럴 때는 얼굴 아는 인 턴을 만나면 어디 병동 누구라고 이야기해서 좀 빼달라고 하던가, 아니면 내가 직접 뽑는다. 뭐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지 않나.

    박재영 : 사실 밤에 수술동의서를 받으러 다니는 것도 전공의가 있는 병원에서는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일이다. (웃음)

    양광모 :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결하는지 궁금하다. 4명이 돌아가면서 당직을 서는가?

    최훈 : (한 숨을 쉬며) 우리 네 명이 돌아가면서 당직을 선다. 그건 좋은데, 아주 간단한 시술 (procedure)를 하러 집에서 병원을 다시 나와야하는 것은 힘들다. 간단한 예로, 폴리(Foley)가 안 들어갈 경우 비뇨기과에 연락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그 시간이 새벽 3시라고 하면 정말 난처 해진다. 다음날 수술이나 외래에 지장을 주기 때문이다.

    박재영 : 그래서 배 과장님을 통해 병원 측에 우리 비뇨기과는 응급환자를 받지 말자고 건의도 했다. 실제로 과거 모 대학병원에서는 비뇨기과만 응급환자를 안본 사례도 있다고 하더라. 하지만 병원 측으로부터 불가하다는 말만 들었다.

    배재현 :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특정과만 폐쇄한다고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물 론 박 교수의 주장도 맞는 부분이 있다. 경제적으로 생각해봐도 새벽에 응급으로 간단한 시술을 하러 나와서 병원에 버는 금액은 몇 만원 되지 않는다. 그에 비해 몇 주 전에 수술을 예약해 입원 한 환자들은 훨씬 더 큰 비용을 낸다. 이렇게 병원 수익도 차이가 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의사의 피로다. 의사가 피로하다는 것은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부분이지 않나. 이런 점을 생각해보면 응급실을 폐쇄하자는 주장이 이기적인 생각만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박재영 : 전공의가 있는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만 하자는 것인데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소주 한 잔 털어 넣은 뒤) 그래서 사기 진작 차원에서라도 교수들의 당직비를 잘 챙겨줄 필 요가 있다고 요구하고 있다. (당직비가 없느냐고 묻자 씁쓸한 표정을 지으며) 현재는 없다.

     

    때마침 응급실에서 요도파열이 의심되는 환자가 있다고 연락이 왔다. 최 교수는 ‘치골상 방광루 (Suprapubic cystostomy) 세트를 준비해달라’고 말한 뒤 응급실로 향하며 ‘일찍 환자가 발생해 다 행’이라고 했다. 응급의학에 찾아보니 치골상 방광루에 대한 내용도 있다며, ‘이참에 응급의학과 전공의들에게 가르쳐 줘야겠다’며 너스레를 떨며 응급실로 갔다.

     

    양광모 : 최근 발의한 전공의특별법에서 전공의 수련시간도 40시간으로 제한하고, 휴가도 다 쓰게 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런 소식을 들으면 심정이 복잡하겠다.

    박재영 : 글쎄. (피식 웃으며) 전공의특별법도 필요하겠지만 우리에겐 교수특별법이 필요하다.

    양광모 : 지금은 임상을 떠났지만 한때 비뇨기과를 수련 받았던 의사로써, 기피과인 ‘흉비외산(흉 부외과, 비뇨기과, 외과, 산부인과)’에 비뇨기과가 포함되는 것이 좀 놀랍다. 내가 수련 받을 때는 서로 하겠다고 경쟁을 벌였는데 말이다.

    배재현 : 사실 외과나 흉부외과, 산부인과에 비해 비뇨기과는 당연히 더 인기가 없을 수밖에 없다. 그들은 정부의 지원금을 가지고 전공의 임금을 높이려는 시도라도 할 수 있지만 비뇨기과는 그런 지원이 없으니 말이다.

    양광모 : 앞으로 어떤 전공의가 지원했으면 좋겠나.

    배재현 : 전공의가 없다고 해서 아무나 들어와서도 안 되고, 그런 식으로 받을 생각도 없다. 특히 아무 색깔도 없는 ‘찌질한’ 전공의가 들어오는 것은 결사반대다. 이미 전공의가 없는 상태로도 문 제없이 돌아가게 모든 세팅돼 있기 때문에 조급한 생각을 가져선 안 된다고 본다.

    박재영 : 전적으로 공감한다. ‘찌질한’ 전공의가 과(科) 분위기 전체를 망치는 경우도 많이 봤다. 게다가 앞으로 비뇨기과는 대학병원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많은데 그런 사람이 교수가 될 경우 환 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지 않나.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를 보며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란 속담이 떠올랐다. 전공의보다 교수란 직 책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잇몸이 없으면 이로’란 말이 맞을 수도 있다. 어려운 환경에도 끝까지 웃음 잃지 않는 모습은 보기 좋았다. 앞으로 “찌질한 전공의는 절대 받지 말자”라는 구호와 함께 마지막 잔을 비운 뒤 자리에서 일어섰다. 해마다 연락해 소식을 들어봐야겠다는 나만의 다짐과 함께.

     

    국내 20대 이상 여성 절반, ‘방광 질환’ 방치

    쿠키뉴스  /  2014 07 24  /  송병기 기자
    배뇨장애요실금학회 실태조사 발표…초기에 병원 방문해야 치료 효과 높다

    우리나라 20대 이상 여성 2명중 1명은 방광 질환을 경험했음에도, 특별한 대처 없이 증상이 호전되기를 기다리는 등 치료에 소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회장 김준철, 가톨릭대학 부천성모병원 비뇨기과)은 최근 ‘제8회 골드리본캠페인’ 일환으로 여성의 방광 질환 치료 실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비뇨기과 김현우 교수팀이 13개 대학병원 내 건강 검진 센터를 방문한 20대 이상 여성 525명을 대상의 설문으로 진행됐다. 

     

    여성의 절반 이상 방광 질환 증상 경험하, 42%가 증상 방치

     

    조사 결과 여성 환자의 55%가 하나 이상의 방광 질환의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경험한 증상으로는 잦은 소변으로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빈뇨 증상과 소변이 마려워 2회 이상 잠에서 깨는 야간뇨 증상이 각각 22%로 가장 많았으며, 소변을 본 후에도 잔뇨감이 남아 있다는 응답이 18%로 그 뒤를 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증상을 보인 환자 중 42%가 특별한 대처 없이 증상이 호전되기를 기다린다는 점이다. 병원을 방문하지 않은 이유로는 자신의 증상이 병원 방문이 필요한 질환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워(42%), 많은 환자들이 방광 질환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증상이 나타난 후 병원을 방문하기까지 기간을 물었을 때 1개월 이상 증상을 방치한 후에야 병원에 방문했다고 응답한 환자는 37%였다. 또한 병원 방문이 1회에 그친 환자는 46%, 치료 기간이 1개월 미만인 환자는 72%에 달해, 병원 치료가 일회성에 그치거나 자의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병원 치료를 중단한 이유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56%) 질환이 완치되어서라고 응답했지만, 실제로 치료 후 2명 중 1명은 증상이 재발했다고 응답해, 증상이 일시적으로 개선된 것일 뿐 추가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사에 참여한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 교수는 “학회 자료에 따르면 요실금 환자 중 야간뇨와 과민성방광을 모두 가진 환자가 51%로 나타나는 등 방광 질환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또 다른 방광 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며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증상이 나타난 후 3개월 이내에 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증상이 재발하지 않았다고 답한 환자가 41%인데 반해, 3개월 이상 경과한 후 병원을 찾은 환자의 경우 재발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가 10%에 그쳐 치료 효과의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초기에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높음을 시사한다.  김준철 회장은 “인구 고령화와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방광 질환을 겪는 여성 환자가 늘고 있지만, 질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비뇨기과 방문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높아 치료를 받는 환자의 비율은 현저히 낮은 실정”이라며 “적극적인 초기 치료를 통해 삶의 질 저하의 원인인 방광 질환을 건강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해다.

     

    날개단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드림팀

    메디팜스투데이   /  2012 1 5 권혜미 기자
    "소규모의 인원으로 많은 수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좋은 팀워크 덕이었다. 모든 비뇨기과 수술은 다 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는 전임교수 2명, 임상교수 1명이라는 소규모의 인원으로 연간 700례의 수술건수를 달성했다. 배재현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과장은 스텝들의 노력과 화합이 이번 결과를 만들어낸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큰 수술에는 적어도 4명의 스텝이 있어야 하지만 사정이 안돼 나머지 교수들이 수술을 해준다"며 "같은 비뇨기과라도 병원 내에서 사이가 안좋은 경우가 많은데 안산병원 교수님들은 도움을 많이 줬다"고 밝혔다.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팀에는 전임교수 2명, 임상교수 1명, 레지던트 2명, 인턴 1명이 일하고 있다.  다른 병원에서는 의사 1인당 평균 60례 정도의 수술을 하지만 안산병원 비뇨기과 팀은 의사 1인당 100례가 넘는 수술을 진행한다.  배재현 교수는 "고대 안산병원의 장점은 병원 규모에 비해 의료의 질이 높은 것"이라며 "자질구레한 수술이 아니라 복강경하 전립선적출술과 복강경하 신장부분절제술, 경피적 신장결석제거술 등 고난이도 수술이 다수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배재현 교수는 비뇨기과 교수로써 낮은 전공의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다.  비뇨기과는 지난 2012년 레지던트 모집에서 0.36:1이라는 최저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배 교수는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비뇨기과 상황이 나쁘지 않은데 악평이 어떻게 났는지 지원율이 확 떨어졌다"며 "비뇨기과하면 성병 치료하는 과로만 알고 있는 등 비뇨기과에 대한 젊은 의사들의 인지도가 낮아지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의과대학 수업도 점점 입시중심으로 돼 가면서 비뇨기과 수업이 거의 없어졌다"며 "인턴 마칠때까지 비뇨기과에 전혀 모르고 나가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고대 안산병원은 2012년 레지던트 1명을 배정받았지만 한명도 지원하지 않았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레지던트는 각각 2년차와 4년차로, 4년차가 전문의를 따고나면 레지던트가 1명 남아 인력을 PA로 채울 예정이다.  배재현 교수는 "고대의료원에 정식으로 PA를 요청했다"며 "PA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꼭 필요한게 돼 버렸다"고 밝혔다.  그는 "전공의들이 고생을 많이 해 700례의 수술건수를 달성할 수 있었다"며 "고생하는 레지던트들에게 가장 기본이 되는 좋은 수술을 많이 가르쳐주기 위해 항상 노력한다"고 말했다.

     

    전공의 모자라 설 땅 잃는 비뇨기과

    출처 및 날짜 (Heading 6)매일경제  /  2013 04 24  /  이병문 기자
    "고생 심한 곳" 기피 1순위로 떠올라 
    진료수가 낮아 폐업도 갈수록 증가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교수들은 가족들과 주말을 보내는 일이 쉽지 않다. 한 달에 한 번 이상 2박3일(금~일요일) 동안 당직을 서야 하고 또 강의 및 각종 학회 준비로 짬을 내지 못해서다. 다른 진료과목은 전공의(레지던트)들이 돌아가며 주중ㆍ주말당직을 서지만 비뇨기과는 전공의가 1명뿐이어서 교수들이 번갈아 당직에 투입된다. 현재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는 배재현(과장)ㆍ박재영ㆍ최훈ㆍ함병국ㆍ심지성 교수, 노태일 전공의 등 6명이 일하고 있다.   주중 당직은 노태일 전공의가 서고 있지만 레지던트 4년차가 되는 내년에는 당직을 혼자 맡길 수 없어 교수들이 주중 당직도 서야 할 판이다.  

    주중당직을 서게 되면 그 다음날 진료와 수술에 악영향을 준다.  수술을 하려면 최소 3~4명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전공의가 1명뿐이어서 동료 교수들이 투입된다. 다른 진료과목은 전공의들이 교수를 보좌하며 수술을 진행하지만 비뇨기과는 인력 부족으로 교수들이 전공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또 야간에 응급실에서 긴급호출이 있으면 수시로 불려나가 일해야 한다. 배재현 교수는 "전공의들이 인력난에 허덕이는 비뇨기과에 가면 고생하는 줄 뻔히 알기 때문에 지원을 꺼린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비뇨기과 전공의 지원 기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비뇨기과 전공의 지원율은 지난 2010년 84.3%, 2011년 55.7%. 2012년 43.5%로 급락하더니 2013년에는 39%대로 최악을 기록했다.  최근 산부인과, 흉부외과, 외과는 전문의 진료비 가산율을 30~100% 인상해주면서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비뇨기과는 상대적 박탈감으로 급격히 무너지고 있다. 전공의 지원율 하락에 따른 인력난은 업무강도로 이어져 지방 병의원 비뇨기과 전공의들이 사표를 내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이형래 교수(대한비뇨기과학회 홍보이사)는 "몇년째 비뇨기과 전공의를 받지 못한 수련병원이 수두룩하다"고 털어놨다. 병원 경영이 악화돼 문을 닫는 비뇨기과도 급증세다. 지난해 개업이 29곳인데 반해 폐업은 37곳에 달했다. 지난해 폐업이 개업보다 많은 과는 외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비뇨기과였는데 이 중 비뇨기과만 2011년보다 폐업이 늘었다. 
    이형래 교수는 "비뇨기과 환자는 늘지만 의사는 줄어드는 불균형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런 추세라면 인력난으로 업무강도가 높아져 양질의 진료를 지속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포럼] 요양병원 서비스 질 높이려면

    서울경제  /  2013 08  27  /  배재현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노인환자를 돌보는 전문화된 의료서비스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수많은 노인 요양병원이 설립돼 지난해 기준 1,068개의 요양병원이 설립됐으며 23만여명이 입원해 의료서비스를 받고 있다. 요양병원 수가 늘어난 만큼 다양한 노인성 질환이 치료군으로 고려돼 적절한 치료가 시행돼야 하지만 요실금과 같은 배뇨장애 질환은 질환의 심각성을 고려했을 때 경시되는 경우가 많다. 정상적인 노화 현상으로 치부돼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 아니라는 인식이 강하고 요양병원 내 전문적인 치료를 시행할 비뇨기과 전문의들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배뇨장애 노인들 치료 제대로 못받아

    내용 (Normal)요양병원 환자의 요실금 유병률은 46%로 2006년 기준 국내 요실금 유병률인 16%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이며 노인이 요양시설에 입소하게 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결코 가볍게 여길 수만은 없다. 또한 요실금은 노년층의 주요 사망원인인 낙상과 골절의 위험을 20~30%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급격히 하락시켜 적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질환이다. 


    한국노년학회의 자료에 의하면 요실금 여성의 83%가 요실금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대답했고 67%는 활동 정도, 53%가 신체상태, 50%가 정신적 영향의 삶의 질이 저하된다고 대답했다. 또한 요실금 환자의 50%가 경도 이상의 우울증으로 조사돼 요실금으로 인한 극심한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요실금이 육체적ㆍ정신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침에도 불구하고 요양병원 입원환자 10명 중 8명 이상은 요실금에 대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 요양병원도 이런 상황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의 용이성ㆍ경제성ㆍ인력 등의 원인으로 적극적인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행 '요양병원 행위 급여목록 상대가치점수 및 산정지침'에 따르면 요양병원 전문의 가산은 내과ㆍ외과ㆍ신경과ㆍ정신과ㆍ재활의학과ㆍ가정의학과ㆍ신경외과ㆍ정형외과 등 8개 과목에만 한정돼 있어 정부의 지원 없이 요양병원 스스로가 비뇨기과 전문의를 배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다. 

     

    비뇨 전문의 의무배치 앞당겨야

    요실금은 적절한 치료만 수반된다면 얼마든지 증상 개선이 가능하며 종류에 따라 완치도 가능해 더 많은 고령 환자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비뇨기과 전문의가 의무배치된다면 체계적인 배뇨장애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한 차원 높은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스로 배뇨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이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전제조건이며 동시에 인간의 존엄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더 이상 요실금과 같은 배뇨장애 질환을 등한시해 노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거나 더 심각한 질환을 키우는 일이 없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배재현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수술 700례 돌파

    청년의사  /  2012.01.02 03:57

    고대 안산병원은 2011년 한 해 동안 비뇨기과 수술 건수가 700례를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뇨기과가 전임교수 2명과 임상교수 1명의 소규모 인원으로 연간 700례의 수술건수를 달성한 것은 비슷한 규모의 타 병원에 비해 1인당 수술건수가 두배에 달할 만큼 높은 수치다.  병원측 은 "이번 700례 돌파가 직전년도인 2010년에 비해서도 두배에 가까운 성장"이라며 "복강경하 전립선적출술과 복강경하 신장부분절제술, 경피적 신장결석제거술 등 고난이도 수술을 다수 포함했다"고 자부했다.

    비뇨기과 배재현 교수는 "임상교수의 수술에 전임교수가 어시스트를 할 정도로 인원이 적다보니 과 분위기나 협력이 매우 중요했다"며 전공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서로 믿고 이끌어주는 비뇨기과 스텝들의 노력과 화합이 이번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뚱뚱하면 요실금이 더 잘생길까? 사실은..

    헬스조선  /  2011년 09.09 

    비뇨기과 전문의 배재현 교수에게 물었다! 

    성인 여성의 40% 이상이 요실금 증상이 있지만 터놓고 말하거나 병원을 찾지 않는 실정이다. ‘부끄럽다’ ‘수치스럽다’ ‘창피하다’는 이유로 병을 키우는 사람들은 생각을 바꿔야 한다. 요실금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야 할 사소하지만 중요한 궁금증을 고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과장이며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홍보위원인 배재현 교수가 명쾌하게 풀어 주었다.

     
    #1 요실금에 대한 소문들, 사실일까?

     

    Q 요실금은 나이가 들거나 출산을 하면 피할 수 없다? No

    나이가 들면 방광·요도·신장의 기능과 골반근육이 요실금이 발생하기 쉽게 변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도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으며, 요실금이 생겨도 치료하면 치유되는 경우도 많다. 출산으로 골반근육이 손상되거나 약화되지만 출산 후 골반근육 운동을 하는 등 노력하면 얼마든지 요실금에서 벗어날 수 있다. 

    Q 20대지만 재채기할 때 가끔 소변이 찔끔 나온다. 이것이 요실금의 전조 증상이다? Yes
    젊은 나이라도 재채기를 하거나 크게 웃을 때 등 일상 속에서 가끔씩 소변이 새어 나오는 것은 일시적인 요실금이라 할 수 있다. 그냥 두면 요실금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일시적인 요실금의 원인은 다양하다. 요로감염, 약물복용, 심부전증, 당뇨병, 심한 변비 등이 있을 때 일시적으로 요실금이 발생한다. 

    Q 아이를 많이 낳으면 요실금에 걸릴 확률이 높다? Yes 
    아이를 많이 낳으면 골반근육의 신경에 반복적인 손상을 줄 수 있어 요실금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특히 복압성 요실금은 골반근육이 약해져 발생하는 것으로 임신, 출산과 관계가 깊다. 출산할 때 태아의 머리가 산도를 지나는 과정에서 골반근육이나 근막, 인대층이 파열된다. 파열된 조직이 충분히 재생되지 않으면 골반근육이 약해져 방광과 요도가 아래로 처진다. 이로 인해 기침이나 웃을 때 복압이 상승하면 소변이 새는 요실금 증상이 나타난다. 

    Q 요실금은 유전이다? No 
    출산이나 노화 등이 요실금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이미 규명된 사실이다. 요실금이 유전되는지 여부에 대한 확실한 의학적 근거는 없다. 다만 방광을 자극하는 음식물을 자주 섭취하면 요실금을 악화시키는데, 가족은 음식물 섭취를 포함한 생활습관이 비슷한 경우가 많아 넓은 의미에서 가족력이 있다고 판단한다. 

    Q 술이나 담배는 요실금을 악화시킨다? Yes 
    흡연은 기침을 일으켜 복압을 증가시키며 니코틴이나 알코올은 방광을 자극해 요실금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Q 뚱뚱하면 요실금이 더 잘 생긴다? Yes 
    비만은 여성 요실금의 80~90%를 차지하는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이다. 때문에 요실금 예방과 치료를 위해 올바른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은 골반근육의 긴장도를 유지시켜 요실금을 방지하고 장의 움직임을 좋게 한다. 변비가 심하면 방광을 자극해 소변을 자주 보게 되므로 변비예방에도 적극 권장한다. 

    Q 출산할 때 제왕절개를 하면 요실금을 막을 수 있다? No 
    그렇지 않다. 출산할 때 제왕절개술을 해도 이미 임신 중에 골반근육이 어느 정도 손상되기 때문에 복압성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생긴다. 

    Q 질 성형수술을 하면 요실금을 예방한다? No 
    질 성형이 성문제뿐 아니라 요실금, 질염, 질건조증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질 성형술이 요실금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2 알쏭달쏭 요실금에 관한 사소한 궁금증 풀이
     

    Q 요실금이 있어도 말을 못 하는 이가 많다. 요실금은 얼마나 흔한 질환인가? 

    요실금은 출산을 경험한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요실금 증상이 있는데도 드러내지 않는 여성이 많다. 출산한 성인 여성의 경우 40% 이상이 요실금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렇다면 우리나라 요실금 환자는 약 500만 명이다. 

    Q 요실금 진단방법은 무엇인가? 
    패드 테스트와 배뇨일지의 결과가 진단의 중요한 열쇠다. 배뇨일지는 요실금의 상태와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3일간 배뇨시간, 배뇨량, 배뇨를 느끼는 시간, 요실금이 생긴 시간, 요실금을 유발하는 음식이나 운동 등을 기록하는 것이다. 패드 테스트는 보통 수분 500mL를 섭취한 뒤 계단 오르기, 앉았다 일어서기, 기침하기, 흐르는 물에 손씻기 등 요실금을 발생시키는 활동을 한다. 그리고 흘러나온 소변의 양을 패드 무게를 재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통상 패드 무게가 2g 이상 증가하면 요실금이 있다고 판단한다. 

    Q 요실금 치료는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나? 
    요실금 치료에는 비수술 요법과 수술 요법이 있다. 비수술적 요법은 바이오피드백치료, 전기자극치료, 약물요법(항콜린제 등의 약물)이다. 경우에 따라 수술적 요법을 통해 증상을 치료하는데, 최근에는 경질적 테이프 수술이 시행된다. 무엇보다 요실금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이해와 진단이 필요하다. 무조건 수술을 권장하거나 비수술적 요법만 고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Q 요실금이 심한 편인데 수술받기가 무섭다. 약물요법은 어떤 약을 사용하나? 
    원칙적으로 요실금은 약물요법만으로 완치가 어렵다. 하지만 요도괄약근의 긴장을 높여 주고 방광의 소변 저장 능력을 높여 주면 복압성 요실금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요실금의 약물치료에는 알파아드레날린 항진제, 항콜린제, 삼환계 항우울제, 에스트로겐 제제 등이 사용된다. 
    알파아드레날린 항진제는 요도괄약근을 긴장시켜 수축을 유발한다. 요도괄약근이 수축되면 기침을 하거나 뛰는 등 복압이 상승해도 소변이 덜 샌다. 복압성 요실금의 약 3분의 1은 과민성방광 증상을 동반한다. 이런 사람은 기침, 재채기, 운동 등 복압이 올라갈 때 소변이 샐 뿐 아니라 소변을 잘 참지 못해 소변을 흘리는 절박성 요실금 증상도 있다. 항콜린제는 방광의 수축을 억제해 소변을 좀더 참을 수 있게 해준다.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함께 있을 때 항콜린제를 사용하면 옷에 소변을 덜 흘리게 된다. 대다수의 항콜린제는 방광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눈물샘, 침샘, 소화기관, 심장 등에도 일부 작용해서 입이 마르거나 쓰고, 속이 더부룩하거나, 눈이 침침하며,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우울증 치료에 주로 쓰이는 삼환계 항우울제는 방광의 수축을 억제해 요실금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에스트로겐 제제도 요실금 치료제로 처방된다. 여성의 요실금은 갱년기 또는 폐경과 함께 뚜렷해지거나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질, 요도, 방광 조직이 약해지고 탄력이 떨어지며 혈액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면 요실금 증상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 에스트로겐 제제는 경구 복용, 질내 삽입형(질정), 바르는 연고나 크림형, 피부에 붙이는 패치, 피하에 이식하는 막대형 등 다양하다. 그러나 에스트로겐의 요실금 치료 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 다른 치료와 함께 시행하는 보조적인 요법으로 생각한다. 

    Q 수술이라면 겁부터 나는데 요실금 수술은 어떻게 하나? 
    과거의 요실금 수술은 대수술이었지만 요즘 시행하는 경질적 테이프 수술은 그렇지 않다. 수술시간은 20분 이내이며 수술 다음날부터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수술성공률은 90% 이상이다. 이 수술법은 그물망 모양의 인체용 합성섬유 테이프를 요도 밑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기침을 하거나 뛰는 등 배에 힘이 들어가는 상황에서도 방광과 요도가 밑으로 처질 때 불필요하게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 그물망은 일종의 안전망 같은 역할을 해 소변이 새는 것을 막는다. 

    Q 수술 후 관리는 어떻게 하나? 재발 위험은 없나? 
    요실금 수술 후 하루, 늦어도 2~3일 이내에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술 후 6~8주간은 수술 부위에 가벼운 통증을 느끼거나 일시적으로 빈뇨, 절박뇨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술 후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고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섬유질이 많고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면 좋다. 
    수술 후 최소 4주간은 과격한 운동이나 달리기, 등산, 성생활은 피하며 약 2개월간 무거운 것을 들지 않는다. 요실금 수술은 방광과 요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많이 처지고 움직였던 방광과 요도를 생리적인 범위 안에서만 움직이도록 지지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만성변비나 만성기침이 있거나, 평소 배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일을 하거나, 늘 무거운 것을 들고 움직이거나, 오래 서 있거나 쭈그리고 앉는 일이 많다면 시간이 지나 골반근육은 다시 약해진다. 그 밖에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신체 변화도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요실금 수술을 받았더라도 요실금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만족스러운 수술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 

    Q 요실금에 좋은 식품이 있나? 
    좋은 식품보다는 피해야 할 식품이 많다. 너무 자극적인 음식이나 음료를 과다섭취하면 방광을 자극한다. 방광을 자극하는 음식은 알코올, 탄산음료, 커피, 우유와 유제품, 카페인 함유 제품, 토마토 함유 식품, 매운 음식, 신맛 나는 주스나 과일류, 초콜릿, 시럽, 꿀, 설탕, 인공감미료 등이다. 모두 제한한 필요는 없지만 자신의 요실금 증상을 악화시키는 특정 음식은 가능하면 조절하는 것이 현명하다. 

    Q 요실금 수술 후 물을 많이 마시라는 조언을 들었다. 얼마나 마셔야 하나? 
    식사할 때 마시는 물 외에 별도로 물을 자주 마신다. 매일 적어도 6~8잔(1~1.5L)의 물을 마시면 소변이 맑아지고 변비를 예방한다. 단 탄산음료는 방광을 자극하므로 피한다. 취침 전에 물을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밤에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자다가 소변을 보기 위해 자꾸 깨는 야간 빈뇨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하루 중 활동량이 많은 시간에 적절히 배분해 수분을 섭취하고 오후 시간에는 다리로 몰린 혈액이 심장으로 잘 순환되도록 휴식을 취하거나 다리를 마사지해 순환을 자극하면 소변 때문에 깨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수분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요실금을 악화시키므로 주의한다. 

    Q 요실금 예방에 변비치료가 왜 중요한가? 
    변비가 심하면 복압이 올라가 복압성 요실금이 나타난다. 또 장이 만성적으로 확장되어 방광을 자극하므로 소변을 더 자주 보게 된다. 그러므로 변비 치료를 병행해야 요실금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Q 요실금과 과민성방광, 방광염은 어떻게 구분하나? 
    우선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과민성방광 증상은 갑자기 소변이 참기 어려우며 화장실을 자주 가는 병이다. 요실금은 기침을 하거나 운동을 할 때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나오는 질환이다. 방광염이 있으면 대부분 과민성방광 증상이 있으나 일시적이고, 배뇨통을 동반하기에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나 방광염이나 과민성방광이 심하면 요실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세 질환의 치료법이 다르니 자신의 증상을 잘 살피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다. 비뇨기과 하면 흔히 남성을 위한 진료과라 생각하기 쉽다. 비뇨기과는 배뇨기관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곳으로 여성을 괴롭히는 요실금, 과민성방광, 방광염 등의 질환을 좀더 전문적으로 치료한다. 

    Q 남자도 요실금이 있다고 하던데, 어떤 경우에 생기나? 
    남성과 여성은 생식기 구조가 다르다. 남성은 출산을 겪지 않기 때문에 복압성 요실금은 거의 없다. 전립선질환이나 방광 기능이 안 좋아서 생기는 절박성 요실금이 대부분이며, 절박성 요실금은 과민성방광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과민성방광은 소변을 자꾸 신경 쓰게 되므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많이 준다. 잘못하면 소변이 흐르거나 새기 때문에, 틈만 나면 화장실을 미리 갔다 오려고 한다. 남자는 전립선 수술 후 요실금이 많이 생기는 편이라 수술 전에 미리 동의를 받는다. 남성 요실금도 수술 후 바이오피드백 치료 등으로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Q 남자가 요실금이 있으면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 
    요실금 때문에 성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성관계를 갖기 전에 화장실을 꼭 다녀오는 강박증이 생기는 등 간접적으로 성생활을 방해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9/08/2011090801704_2.html

     

    기사제목 (Heading 4, 글자크기 28)

    출처 및 날짜 (Heading 6)

    내용 (Normal, 글자크기 16)

    큰제목 (Heading 5, 글자크기 20)

    내용 (Normal, 글자크기 16)

    작은제목 (Heading 6, 글자크기 18))

    내용 (Normal, 글자크기 16)

     

     

     

     

    기사제목 (Heading 4, 글자크기 28)

    출처 및 날짜 (Heading 6)

    내용 (Normal, 글자크기 16)

    큰제목 (Heading 5, 글자크기 20)

    내용 (Normal, 글자크기 16)

    작은제목 (Heading 6, 글자크기 18))

    내용 (Normal, 글자크기 16)

     

     

     

  • Lab Members

    박재영 (고려의대) Park, JY  :  jaeyoung.park@gmail.com
    최훈 (고려의대) Choi H  :  doc71377@gmail.com
    김재헌 (순천향의대) Kim JH  :  piacekjh@hanmail.net
    함병국 (안양샘병원) Ham BK  :  toucham@hanmail.net
    심지성 (고려의대) Shim JS  :  colllateralll@gmail.com
    조석 (인제대의대) Cho S  :  envystone@daum.net
    태범식 (고려의대) Tae BS  :  bumsik4ever@hanmail.net
    노태일 (고려의대) Noh TI  :  allybaba04@gmail.com
    전병조 (고려의대) Jeon BJ  :  bjmj421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