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수 교수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에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한 후, 미시간대학교에서 경영학석사, 스탠포드대학교에서 통계학 석사 및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시간대학교 재학시에는 전학년 수석으로
외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헨리 포드 2세 장학생(Henry Ford II Scholar)로 선발되었고, 스탠포드 대학교 재학시에는 미국마케팅학회의
Doctoral Consortium Fellow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박 교수는 고객 지향적인 신상품 개발 기법과 브랜드 자산 측정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해오고 있으며, 그의 연구 성과는 국내외에서
높은 인정을 받고 있다.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에 발표한 그의 논문, 'A Survey-Based Method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Brand Equities
and its Extendibility'는 마케팅 조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미국마케팅학회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가 수여하는
도널드 레이먼 상 (Donald R. Lehmann Award)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또,
Management Science에 발표한 그의 논문, 'An Approach to the Measur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of Brand Equity and Its
Sources,'는 INFORMS (The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가 수여하는
존 리틀 최우수논문상(John D.C. Little Best Paper Award)의 Finalist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활동과 함께, 박 교수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이 수여하는
Teaching Excellence Award와 고려대학교가 수여하는
석탑강의상을 수상하였고,
마케팅원리, 신상품마케팅 등의 저서와 역서를 내놓았으며, 유수의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강의와 자문 활동을 지속적으로 해오면서 이론과 실무를 접목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Curriculum Vitae
Education
스탠포드대학교 경영학 박사 (마케팅 전공)(PhD, 1992)
스탠포드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통계학 석사 (MS, 1992)
미시간대학교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경영학 석사 (MBA, 1987)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BBA, 1985)
Professional Experiences
고려대학교 조교수 (1997-1999), 부교수 (1999-2003) 및 교수 (2004-현재)
미국마케팅학회 도널드레이먼 상 (1997) (1997 Donald R. Lehmann Award for Outstanding Dissertation-Based Article in Marketing Research,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Marketing Research Special Interest Group).
신상품마케팅 (공역) (Glen L. Urban and John R. Hauser, Design and Marketing of New Products), 시그마프레스 (1995).
국제학술지
Does Advertising Exposure Prior to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Ratings? Marketing Letters,
2015 (이은영과 공저).
Effects of Product Number and Brand Breadth on the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Asia Marketing Journal, 2013
(여민선 외 5인과 공저).
An approach to the measur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of brand equity and its sources. Management Science, 2005
(with V. Srinivasan and Dae Ryun Chang).
The robustness of hierarchical Bayes conjoint analysis under alternative measurement scal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04.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Royalty Structures in Franchising under Demand Uncertainty.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2002 (with Seungwon Jeon).
Margin or Sa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Royalty Structures in Japanese Convenience Store Industry, In Michael
Czinkota and Masaaki Kotabe (eds.) Japanese Distribution Strategy, London: Business Press (2000) (with Rajiv Lal and
Hyunchul Kim).
Surprising Robustness of the Self-Explicated Approach to Customer Preference Structure Measur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97 (with V. "Seenu" Srinivasan).
A Survey-Based Method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Brand Equity and its Extendibi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94 (with V. "Seenu" Srinivasan).
국내학술지
놀라움과 고객기쁨의 관계: 놀라움의 유형, 제품의 종류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017 (이은영과 공저)
삼성의 신경영과 브랜드 경영: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2014 (김한구와 공저).
불합치된 수식어가 브랜드 네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013 (곽적문과 공저).
소셜미디어 시대의 마케팅 전략: 연구동향과 쟁점,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 대한민국학술원, 2012.
지난 10년간 브랜드에 대한 국내 연구성과 검토와 향후 전개방향의 제언, 소비자학연구, 2010 (전성률과 공저).
다항회귀를 이용한 자아이미지 일치성 측정: 간접측정 및 직접측정과의 비교, 마케팅연구, 2008 (김용운, 장정민과 공저).
키워드 검색의 판매 효과에 관한 2단계 모형, 한국마케팅저널, 2008 (조지훈과 공저).
온라인 커뮤니티 의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마케팅연구, 2007 (임언석, 이기순과 공저).
히트상품 선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제품지식과 브랜드강도의 조절 작용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006 (류강석, 박종철과 공저).
브랜드대상 선정행사의 현황 및 수렴타당성 분석, 한국마케팅저널, 2005 (박연수와 공저).
국내 브랜드 관리자 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디자인브랜드경영저널, 2004 (황현숙과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