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지영래

Prof. JI, Youngrae 지영래

Tel:  02-3290-2108

E-mail: jimage@korea.ac.kr

(Update. 2022.05.25)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Profile



    •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의 문학비평에 관한 논문 "L'Idiot de la famille et l'esthétique de l'imaginaire de Jean-Paul Sartre" (Univ. de Strasbourg II, 2006)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학위 논문의 내용은 사르트르가 19세기 소설가 귀스타브 플로베르(Gustave Flaubert)에 대하여 쓴 전기비평 <집안의 천치L'Idiot de la famille> (1971-72)를 그의 초기 철학에 해당하는 상상력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사르트르의 미학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고, 저서로는 <집안의 천치: 사르트르의 플로베르론>(고려대학교출판부), <실존과 참여>(공저, 문학과지성사) 등이, 역서로는 <사르트르의 상상력>(기파랑), <닫힌 방ㆍ악마와 선한 신>(민음사) 등이 있다. 최근에는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파트릭 모디아노(Patrick Modiano)의 작품 세계와 프랑스어로 활동하는 알제리 작가들의 소설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Caricature de Sartre écrivant son Flaubert.
    Dessin de J. Redon publié dans le Figaro littéraire le 7 mai 1971.
    Archives Gallimard.


  • Curriculum Vitae

    Education
    • 박사- 1996.08 - 2006.01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Univ. de Strasbourg II) 불문학 박사
    • 석사- 1991.03 - 1995.02 고려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문학 석사
    • 학사- 1984.03 - 1991.02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  
    Professional Experiences
    • 2010.03 ~ 현재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 2012.09 ~ 현재 고려대학교 영상문화학협동과정 운영위원
    • 2022.11 ~ 현재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원장
    • 2020.02 - 2022.01고려대학교 인문학과문화산업 융합전공주임
    • 2018.09 - 2021.07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소장
    • 2017.02 - 2019.01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과장
    • 2014.03 - 2020.02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부교수
    • 2013.02 - 2013.08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과장
    • 2010.03 - 2014.02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조교수
    • 2009.09 - 2010.02 고려대학교 번역과레토릭연구소 연구교수
    • 2007.08 - 2009.07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  
    • 2022.01 – 2022.12 프랑스학회 회장
    • 2018.01 – 2019.12 한국불어불문학회 편집위원장
    • 2015.01 – 2016.12 한국영상문화학회 편집위원장
    • 2006.03 - 2017.12 ADIREL(Association pour la Diffusion de la Recherche Littéraire)의 회원
    • 2006.03 ~ 현재 한국사르트르연구회 회원
  • Publication

    단행본
    국제학술지
    • 1. “Sartre, admirateur secret de Proust”, < L'Esprit Créateur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Winter 2006
    • 2. “La reconstruction sartrienne de la vie de Flaubert”, < Recherches et Travaux >, No 71, Ellug (Université Stendhal-Grenoble 3), 2008.01
    국내학술지
    • 1. “문학의 문체와 미술의 화풍 - 산문적 태도와 시적 태도, 사르트르의 두 미학적 입장”, <프랑스문화예술연구>,제17집, 2006.06
    • 2.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미술 비평 경우”, <프랑스문화예술연구>,제21집, 2007.08
    • 3. “우리는 왜 이미지의 세계에 빠져 드는가?”, <기호학 연구>, 제22집, 2007.12
    • 4. “작품별 번역 양상을 통해서 본 사르트르의 국내 수용 연구”, <불어불문학연구>, 제76집, 2008.12
    • 5. “사르트르의 <집안의 천치>의 소설적 구조 분석”, <프랑스학연구>, 제49집, 2009.04
    • 6. "번역본에서의 곁텍스트의 위상: <마담 보바리>의 번역본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제11집, 2010.10
    • 7. “오레스테스 신화의 변용을 통해 본 사르트르의 연극관”, <프랑스어문교육>제35집, 2010.11
    • 8. “사르트르의 언어와 문체, 그리고 번역”, <프랑스문화예술연구>제35집, 2011.02
    • 9. "사르트르 희곡작품의 국내 수용 양상 연구", <프랑스학연구>, 제55집, 2011.02
    • 10. "<집안의 천치>와 사르트르의 전진-후진적 방법”, <프랑스학연구>, 제58집, 2011.11
    • 11. "사르트르의 문학비평과 신비주의", <외국문학연구>, 제45집, 2012.02
    • 12.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도피로서의 문학", <프랑스어문교육>, 제39집, 2012.02
    • 13. "사르트르 상상력 이론의 후기 변천과정 연구 (1)", <불어불문학연구>, 제92집, 2012.12
    • 14.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을 통해 본 소설 읽기와 의식의 구조", <불어불문학연구>, 제100집, 2014.12
    • 15. "기호와 이미지의 시간성 고찰", <영상문화>, 제26호, 2015.06
    • 16. "모디아노의 현대적 글쓰기 : 우리 시대의 발자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55집, 2016.02
    • 17. "시간의 관점에서 본 사르트르 <구토>의 미학", <불어불문학연구>, 제106집, 2016.06
    • 18. "사르트르 <구토>의 우리말 번역본 현황 연구", <프랑스학연구>, 제78집, 2016.11
    • 19. "사르트르와 실존적 정신분석-프로이트와 마르크스 사이에서", <프랑스학연구>, 제81집, 2017.08
    • 20. "모디아노의 소설 세계에 나타난 공간의 시학",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63집, 2018.03
    • 21. “카멜 다우드의 <뫼르소, 살인사건> 속에 나타난 다시쓰기 전략”,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64집, 2018.05
    • 22. "알제리 프랑스어 작가에게 있어서 언어와 타자의 문제", <프랑스학연구>, 제90집, 2019.11
    • 23.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뒤프렌의 미학 이론의 접점: 아날로공 개념을 중심으로", <영상문화>, 제35호, 2019.12
    • 24. "Z세대, 포노 사피엔스, 그리고 프랑스 어문학 교육", <프랑스어문교육>,  제71호, 2020.12
    • 25. "미셸 뷔토르의 소설 <단계 Degres>에 나타난 의미층 연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83집, 2023.02
  • Research

    Research Topic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의 문학비평과 미학

    장폴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에 나타난 초기 철학을 중심으로 그의 소설 작품, 연극 작품, 전기비평 작품을 분석하는 연구. 최근에는 사르트르의 의식 철학과 현대 뇌과학의 성과를 연결하는 시도.


    [학술발표]

    • - "Z세대, 포노 사피엔스, 그리고 프랑스어문학 교육",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2020.10.17.
    • - "뇌과학과 의식철학 : 커넥톰 이론과자유의지의 문제에 관하여", 한국영상문화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11.11.
    • - “사르트르와 실존적 정신분석 : 프로이트와 마르크스 사이에서”, 한국현상학회 학술세미나, 2017.05.13.
    • - "L'esthétique et la temporalité dans La Nausée de J.-P. Sartre", 37e congrès de l'Association Japonaise, AJES, Rikkyo University (Tokyo), 2016.07.16.
    • - "Le langage, le style, et la traduction chez J.-P. Sartre", 27e congrès de l'Association Japonaise d'Etudes Sartriennes, Association Japonaise d'Etudes Sartriennes, Rikkyo University (Tokyo), 2011.12.03.

    파트릭 모디아노(Patrick Modiano)의 작품 세계

    201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파트릭 모디아노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연구.


    [학술발표]

    • - "모디아노의 소설 세계에 나타난 공간의 시학", 프랑스학회-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7년 추계연합학술대회, 2017.10.24.
    • - "모디아노를 읽는 하나의 시각: 우리시대의 발자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5년 가을학술대회, 2015.10.31.

    알제리 프랑스어 작가의 작품 세계

    카텝 야신(Kateb Yacine), 카멜 다우드(Kamel Daoud) 등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프랑스어로 작품 활동을 하는 알제리 작가들에 대한 연구. 프랑스어권문학 연구.


    [학술발표]

    • - “Penser l’Autre dans les romans algériens de langue française : de Kateb Yacine à Kamel Daoud”, 32e Congrès mondial du CIEF(Conseil international d'Etudes Francophones), Univ. de La Rochelle (France), 2018.06.07.
    • - "La stratégie de la réécriture dans Meursault, contre-enquête de Kamel Daoud", 31e Congrès mondial du CIEF(Conseil international d'Etudes Francophones), univ. des Antilles(La Martinique), 2017. 06. 27.
  • Teaching

    학부수업
    • - FRAN357 프랑스현대소설 〔3〕
    • - FRAN354 프랑스소설과작가 〔3〕
    • - FRAN347 프랑스어권문학 〔3〕
    • - FRAN340 프랑스문학사II [3]
    • - FRAN307 프랑스소설의이해 〔3〕
    • - FRAN231 프랑스문학의이해 〔3〕
    • - FRAN213 번역프랑스문학 〔3〕

    대학원수업 : 원서강독 목록
    • 2010/1 : R. Fayolle, La Critique, Armand Colin, 2e éd., 1978.
    • 2010/2 : G. Bachelard, La Psychanalyse du feu, Gallimard, 1938.
    • 2011/1 : G. Bachelard, L'Eau et les rêves, José Corti, 1941.
    • 2011/2 : J.-P. Sartre, Qu'est-ce que la littérature?, Gallimard, 1947.
    • 2012/1 : R. Barthes, Le Degré zéro de l'écriture, Le Seuil, 1953.
    • 2012/2 : R. Barthes, Sur Racine, Le Seuil, 1963.
    • 2013/1 : M. Foucault, Les Mots et les choses, Gallimard, 1966.
    • 2013/2 : H. Bergson, Matière et mémoire (1896), PUF, 2008.
    • 2014/1 : J.-P. Sartre, L'Imaginaire, Gallimard, 1943.
    • 2014/2 : A. Robbe-Grillet, Pour un nouveau roman, Gallimard, 1963.
    • 2015/1 : P. Ricoeur, Temps et récit 1, Le Seuil, 1983.
    • 2015/2 : G. Bachelard, La Formation de l’esprit scientifique, 1938
    • 2017/1 : M. Robert, Roman des origines et origines du roman, Grasset, 1972.
    • 2017/2 : P. Bourdieu, Les Règles de l’art (1992), Le Seuil, 1998.
    • 2018/1 : P. Ricoeur, Soi-même comme un autre, Le Seuil, 1990.
    • 2018/2 : B. Stora, Histoire de l'Algérie coloniale, 1830-1954, La Découverte, 1991.
    • 2019/1 : M. Dufrenne, Phénoménologie de l'expérience esthétique, PUF, 1953. (영상문화학협동과정)
    • 2019/2 : J.-P.Sartre, L'Idiot de la famille, I, Gallimard, 1971.
    • 2020/1 :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Gingko Press, 1965 . (영상문화학협동과정)
    • 2020/2 : Gérard Genette, Discours du récit, Le Seuil, 1972.
    • 2021/2 : Michel Butor, Essais sur le roman, Gallimard, 1992.
    • 2022/1 : R. Barthes, La Chambre claire, Gallimard, 1980. /
                     Vilém Flusser, Pour une philosophie de la photographie (1983), Circé, 2004. (영상문화학협동과정)
    • 2022/2 : J.-P. Sartre, Qu'est-ce que la littérature?, Gallimard, 1947. /
    •                R. Barthes, Le Degré zéro de l'écriture, Le Seuil, 1953.
    • 2023/1 :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영상문화학협동과정)
    • 2023/2 : 루카치,  『소설의 이론』(1920, 1962) / 바흐찐,  『도스또예프스끼의 시학』(1929,1963) /
    •                Pierre Macherey, Pour une théorie de la production littéraire, Maspero, 1966.
    • 2024/1 : Jean-Francois Lyotard, La Condition postmoderne, Minuit, 1979 /

                     프레드릭 제임슨,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후기자본주의 문화 논리> (영상문화학협동과정)

     

    논문지도
    • 불문과 석사학위
    • - 김보현, 카텝 야신의 『넷즈마』연구 :-서술 초점 분석을 중심으로-, 2013
      - 이상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나는 여담과 기억의 문제 :소돔과 고모라』를 중심으로, 2014
      - 양승미, 발자크의 ≪신비서≫에 드러난 스베덴보리주의의 문학적 형상화, 2016
      - 황숙진, 누벨의 장르적 접근에 대한 비판 :'누벨적 글쓰기'에 대한 시론, 2017
      - 이진영, 장 주네의 『검둥이들Les Nègres』에 나타난 세계의 연극성과 배우의 존재론, 2017
      - 홍예진, 사르트르의 『알토나의 유폐자들Les Séquestrés d’Altona』에 나타난 자유와 책임의 문제, 2020
      - 김지수, 플로베르의 관념론적 미학 :헤겔 『미학 강의』와 『부바르와 페퀴셰』 육필원고 간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2021
     
    • 영상문화협동과정 석사학위
    • - 김경민,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의 〈아틀라스〉의 기원과 이미지적 사유, 2021
    • - 엄신기, 영화 속 트랜스젠더의 젠더 수행성 연구 : 영화<소년은 울지 않는다>와<대니쉬 걸>을 중심으로, 2022
    • - 이재아, 페드로 코스타의 “폰타이냐스 시리즈”에 나타나는 영화의 ‘정치성’ - 자크 랑시에르의 ‘정치’ 사유를 중심으로, 2023
    • 영상문화협동과정 박사학위
    • - Tiago Canario de Araujo, Beyond the self: A study on postmodern subjectivities in the Tranimal movement, 2020
    • - 김현주, 선물(gift)로서의 현대미술 가치 연구: 제도에 경합하는 예술적 실천과 의의, 2022
    • - 이영민, 정보 미학에서의 객체성 개념과 알고리듬 예술의 미학적 논제들,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