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김유범

Tel:  02-3290-2342

office: 운초우선교육관 701호

E-mail: kwangli@korea.ac.kr

세부전공: 국어학(국어사)/국어교육(국어사 교육)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Lab Members
  • Profile

    마르지 않는 깊은 샘 ‘국어’, 뿌리 깊은 나무 ‘국어교육’
     
    국어는 오랜 세월 이 땅의 사람과 사람을 서로 이어 준 마르지 않는 샘입니다. 오늘날의 국어는 과거로부터 쌓여 온 우리 삶의 경험과 지혜, 문화적 자취와 역량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어의 역사를 알아 가는 일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길입니다.
    국어교육은 이러한 역사를 지닌 국어를 아는 것으로부터 출발합니다. 국어 그리고 국어로 이루어진 우리 문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국어 사용자를 길러 내는 일이 바로 국어교육입니다. 국어교육은 국어라는 깊은 샘에 뿌리를 두고 계속해 푸른 잎을 틔우는 뿌리 깊은 나무입니다.

     

     

    국어사 연구와 더불어 국어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알리고 이를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 Curriculum Vitae

    Education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사

     
    Professional Experiences
    • 2012. 9.~현재 고려대학교 교수

      2008. 3.~2012. 8. 고려대학교 부교수

      2004. 3.~2008. 2. 동의대학교 조교수

      2002. 3.~2004. 2. 동의대학교 전임강사

       
  • Publication

    주요 저서
    『교실에서 펼치는 우리말 우리글 역사 이야기』(공저), 역락, 2023.
    『언해본 『삼강행실도』로 익히는 중세국어 v.1.0』(공저), 역락, 2022.
    『중세국어 교육을 위한 정본 언해본 삼강행실도 효자』(공저), 역락, 2022.
    『대한민국이 함께 읽는 훈민정음 해례본』(공저), 역락, 2020.
    『석보상절 권24』(공저), 동국대학교출판부, 2019.
    『우리말 보존을 위한 지역어 조사 연구 정선 지역어』(공저), 월인, 2016.
    『추억, 새로운 꿈을 품다』, 월인, 2015.
    『대한민국 대표한자(개정판)』(공저), 넥서스아카데미, 2008.
    『국어 문법형태소의 역사적 이해』, 박이정, 2007.
    『중세국어 문법형태소의 형태론과 음운론』, 월인, 2007.
    『역주 번역노걸대』(공저), 태학사, 1995.
     

     

     

    논문
    2024. 11.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정본(定本) 수립을 위한 연구(2)-≪충신도≫를 중심으로-(공동), 한국어학 105, 1-46.
    2024. 05. 형태론으로 바라본 국어사 교육, 형태론 26-1, 1-17.
    2023. 06. 문자론, 표기법 연구 자료로서의 『훈몽자회』의 이해, 진단학보 140, 347-366.
    2023. 02. 국어교육을 위한 국어 반모음과 음운 체계 기술 방안에 대한 제언, 한국어문교육 42, 177-205.
    2022. 12. 훈민정음 창제와 백성들의 언어생활 변화, 나라사랑 131, 41-77.
    2022. 08. 국어사와 고전문학의 융합을 위한 실험적 모색-『삼국유사』 <무왕>조의 <서동요>를 중심으로-(공동), 어문논집 95, 5-44.
    2022. 05. 고전소설 이본 간의 시간성·지역성과 국어교육적 활용 방안-<홍길동전>을 중심으로(공동), 한국어문교육 39, 7-53.
    2021. 12. 국어교육을 위한 국어사와 고전문학의 소통과 협력(공동), 국어교육학연구 56-4, 43-86.
    2021. 08. 『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한자 주음 연구-三合切音의 원리 및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공동), 민족문화연구 92, 85-129.
    2021. 04. 언해본 『삼강행실도』 최고본(最古本)에 대한 비교 연구: ≪효자도≫를 중심으로(공동), 국어사연구 32, 275-311.
    2020. 11.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정본(定本) 수립을 위한 연구-≪효자도≫를 중심으로-(공동), 한국어학 89, 123-168.
    2020. 11. 淸文鑑類 만주어 사전의 성립과 전파, 그리고 동아시아적 변용(공동), 인문학연구 45, 7-51.
    2020. 04. 언해본 『삼강행실도』≪효자도≫의 원전(原典)과 텍스트 성립 과정에 대하여(공동), 국어사연구 30, 187-238.
    2019. 10. 『훈민정음』의 각자병서자와 전탁음의 음가에 대한 재론(공동), 우리말연구 59, 5-45.
    2019. 08. 한자어 어원의 국어사전 처리 방안 연구, 한국어학 84, 35-58.
    2019. 05. 국어사 교육에서 바라본 고대국어의 교육 내용과 석독구결, 민족문화연구 83, 287-308.
    2018. 11. 『훈민정음』<예의>와 ≪해례≫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 우리말연구 55, 121-144.
    2018. 05. 한국어교육에서의 『훈민정음』 해례본 활용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 3-1, 95-127.
    2018. 04.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 성과에 대한 고찰, 우리말연구 53, 129-159.
    2018. 02. 고려시대 음운과 고려가요, 구결연구 40, 5-27.
    2017. 12. 문법 교과서의 오류 유형 파악을 통한 학습자의 오개념 형성에 관한 고찰-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문법 교육 31, 135-156.
    2017. 03. 이형태의 성격과 이형태교체의 유형, 國語學 81, 325-350.
    2017. 03. 21세기에 다시 만나는 언어 유형론의 보물 창고-Edward Sapir, 김정우 옮김, 『언어_말의 연구를 위하여』, 경남대학교출판부, 2015., 어문론총 71, 233-243.
    2017. 02. 한글 고문서 「해평 윤씨 부인 한글 원정」연구, 우리말연구 48, 49-82.
    2016. 09. 지역어의 시간적 변화를 통해 본 언어 변화의 실제와 양상-1990·91년과 2013년 정선 지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76, 209-235.
    2016. 06. 중세국어 문법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말연구 40, 63-85.
    2016. 01. 현대국어 한자음의 음운론과 형태론, 우리말연구 44, 5-26.
    2015. 02.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3) : 《열녀도》를 대상으로, 민족문화연구 66, 317-351.
    2014. 04.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18, 193-218.
    2014. 02. 만주어 사전 구축을 위한 『同文類解』의 활용 가능성 모색(공동), 민족문화연구 62, 181-208.
    2013. 08. 東海市 三和寺 鐵佛의 吏讀文, 구결연구 31, 97-135.
    2013. 04. 중세국어 교육 내용의 선정, 국어사연구 16, 63-96.
    2013. 04.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안과 국어사 교육, 문법 교육 18, 45-64.
    2013. 02. 경음화와 관련된 동일 조음 위치의 연속된 두 자음의 발음에 대하여(공동), 한국어학 58, 31-53.
    2013. 02. 『同文類解』의 滿洲語 한글 표기 체계에 대하여(공동), 민족문화연구 58, 553-578.
    2012. 10. 문자 표기의 형태론적 장치에 대하여, 어문논집 66, 81-100.
    2012. 05. 고대국어 문법 연구의 회고, 한국어학 55, 41-64.
    2012. 02. 국어 문법 교과서 개신을 위한 방향 모색(공동), 한국어문교육 11, 81-125.
    2011. 11. 통사성과 합성어의 유형 변화, 한국어학 53, 119-143.
    2011. 04. 행실도(行實圖)류의 역주 방법론 연구, 국어사연구 12, 23-48.
    2010. 10. 『老朴集覽』 중 ‘朴通事集覽’과 『朴通事諺解』 夾註의 비교 연구(1), 어문논집 62, 119-142.
    2010. 08. 均如의 鄕歌 <廣修供養歌> 解讀, 구결연구 25, 47-81.
    2010. 04. 국어 음운론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찾기를 위한 제언-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의 구성과 관련하여-, 우리말연구 26, 215-233.
    2009. 12. 한국의 한자 차자표기법에 대한 문자학적 조명과 교육 방안의 모색, 인간과 문화 연구 15, 147-172.
    2009. 10. 『언해태산집요』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9, 173-210.
    2009. 06. 국어생활사 교육의 방법과 교재, 문법 교육 10, 49-64.
    2009. 05. 텍스트 구성 차원에서 바라본 해례본 『훈민정음』 기술 내용의 몇 문제, 한국어학 43, 105-124.
    2008. 10. ‘ㄱ’탈락 현상의 소멸에 관한 고찰-16세기 이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23, 31-53.
    2008. 09. 이형태교체의 조건과 중세국어 이형태교체의 몇 문제, 국어국문학 149, 201-222.
    2008. 01.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2) - ≪충신도≫를 대상으로, 우리어문연구 30, 265-297.
    2007. 12.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1)-≪효자도≫를 대상으로-, 민족문화논총 2007-37, 465-489.
    2007. 11. 형태론적 과정에 나타나는 음운론적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학 37, 47-73.
    2007. 11. 漢字語 ‘屍體’와 ‘死體’의 歷史的 考察, 일본근대학연구 18, 15-26.
    2007. 06. 15세기 문헌자료의 특수 분철 표기에 대한 형태음운론적 연구, 한말연구 20, 73-99.
    2007. 06. 옛말 텍스트 강독을 통한 옛말의 문법 교육, 인문학연구 11, 5-29.
    2007. 02. 문헌어의 음성적 구현을 위한 연구(1): 15세기 문헌자료 언해본『훈민정음』의 '어제서문'을 대상으로, 한국어학 34, 169-207.
    2006. 10. 우리말 접사의 국어사적 고찰, 우리말연구 19, 169-203.
    2006. 06. 중세국어 문법의 효과적 교육을 위한 모색, 청람어문교육 33, 139-163.
    2006. 04. 형용사 '지다'의 형성과 역문법화, 우리말연구 18, 123-141.
    2006. 02. 'ㅎ'보유 한자어와 한자음, 국어사와 한자음, 239-263.
    2006. 02. 중세국어 문법 교육과 언해본 『三綱行實圖』, 새얼어문논집 18, 185-211.
    2005. 06. 15세기 국어 'ᄀᆞ티'의 음운론과 형태론, 청람어문교육 31, 123-136.
    2005. 04. 교체에 대한 언어학사적 고찰, 문화콘텐츠연구 10, 215-227.
    2005. 04. 淸風府院君 宗家 소장 諺簡에 대하여, 어문논집 51, 87-104.
    2005. 02. 중세국어 ‘-ᄫᅡᆮ-/-왇(웓)-’의 형태론과 음운론, 한국어학 26, 25-65.
    2005. 02. 중세국어 ‘-거지ᅌᅵ다’, ‘-거지라’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17, 285-298.
    2004. 12. 국어사·국어학사, 국어학연감 2004, 211-238.
    2004. 06. 언어 변화 이론과 국어 문법사 연구, 국어학 43, 429-460.
    2004. 02. 국어 음운현상의 형태론적 제약, 새얼어문논집 16, 265-282.
    2003. 10. 15세기 국어 문법형태소와 문법화, 어문논집 48, 39-64.
    2003. 09. ‘도우미’와 ‘다리미’의 형성구조, 형태론 5-2, 351-365.
    2003. 02. 자질계층이론과 국어의 음운현상, 國語學의 새로운 照明, 387-417.
    2003. 01. 중세국어 ‘-ㄴ다마다’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15, 263-290.
    2002. 12. 한국어 음운과정의 형태론화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17, 225-241.
    2002. 11. 이형태란 도대체 무엇인가?,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235-253.
    2002. 10. ‘ㄴ’삽입 현상의 연구사적 검토(공동), 어문논집 46, 41-71.
    2002. 05. 설음·치음과 15세기 국어 선어말어미 {-ᄉᆞᇦ-}의 이형태교체, 이중언어학 20, 25-43.
    2001. 12. 中世國語 '이ᅌᅥ긔, 그ᅌᅥ긔, 뎌ᅌᅥ긔'에 대하여(공동), 진단학보 92, 269-291.
    2001. 12. 선어말어미 {-으시-}의 이형태와 구결자 ‘下’의 독법에 대하여,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 565-585.
    2001. 09. 시간성 의존명사 ‘다’를 찾아서, 형태론3-2, 209-229.
    2001. 07. 15세기 국어 문법형태소의 형태론과 음운론, 박사학위논문.
    2001. 06. 15세기 국어 문법형태소의 이형태 형성에 대한 일고찰-‘ㄷ>ㄹ’변화 및 ‘ㄹ’형 형태로의 변화에 의한 이형태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3, 53-83.
    2000. 09. 런던대학本 『朝鮮館譯語』에 대하여,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313-338.
    2000. 09. 현대국어 음운론의 통시적 조망-100여 년간의 음운론적 특징에 대한 조망을 중심으로-, 현대 국어의 형성과 변천 1, 61-86.
    2000. 01. 老朴集覽의 成立에 대하여-音義, 質問, 譯語指南의 성격 규명을 通하여-, 국어사자료연구 1, 69-96.
    1999. 12. 관형사형어미 '-ㄹ' 뒤의 경음화 현상에 대한 通時的 고찰, 한국어학 10, 5-25.
    1999. 11. 借字表記의 格과 助詞-鄕札, 口訣, 吏讀의 格助詞에 대하여-, 국어의 격과 조사, 537-569.
    1998. 09. 國語의 子音體系와 音節末 中和에 대한 通時的 照明, 어문논집 38, 295-316.
    1998. 08. 吏讀 '-是等'攷, 구결연구 4, 115-136.
    1998. 06. 慕竹旨郞歌 '阿冬音'의 解讀 再考, 한국어학 7, 99-115.
    1998. 05. 근대국어의 선어말어미-형태와 통합순서를 중심으로-, 근대국어 문법의 이해, 145-176.
    1997. 05. 老朴集覽의 落張 復原에 관한 硏究, 국어국문학 119, 109-130.
    1996. 08. '尸'의 二重的 音價 문제에 대한 해명을, 한국어학 4, 207-219.
    1995. 07. 國語 流音의 音韻史的 硏究, 석사학위논문.
    1995. 06. 國語의 資質階層樹型圖 -자음과 모음의 통합모델을 위한 모색-, 한국어학 2, 103-130.
    1994. 12. 高麗建國의 國語史的 意味, 한국어문교육 7, 81-113.
     
  • Research

    Research Topic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 Teaching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 Lab Members

    내용을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