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정재림

Tel: 02-3290-2347

office: 사범대학 본관 205호

E-mail: renovare@korea.ac.kr

세부전공: 국문학(현대문학), 국어교육(국어교육학)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Lab Members
  • Profile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 Curriculum Vitae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사

     

    경력

    2020.9 ~ 현재 고려대학교 부교수

    2018.9 ~ 2020 고려대학교 조교수

    2015.4 ~ 2018.8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교수

    2011.3 ~ 2015.3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수상

    200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평론 당선

    2010년 서울기독교영화제 영화비평 우수상 수상

     

  • Publication

    • 주요 저서
    • 정재림 외(2023), 『우리가 SF 세계로 갈 수 있다면: 미래교육을 꿈꾸는 융합수업 이야기』, 역락.
    • 정재림 공역(2022), 『구상구축과 문학교육: 문학적 사고와 문학 수업』, 박이정.
    정재림 외(2021), 『(인공지능 시대의) 국어교육과 교양교육』, KU PRESS(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정재림 외(2020), 『한국 교원양성교육의 현황과 미래』,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정재림 (2013), 『이태준, 밝은 달빛이 유감한 까닭에』, 우리학교.
    정재림 (2013), 『한국 현대소설과 전쟁의 기억』, 한국학술정보.
    정재림 외(2011), 『기억의 여신 므네모시네, 영화관에 들어서다』, 푸른사상사.
    정재림 (2011), 『문학의 공명』, 황금알.
    정재림 편(2010), 『임옥인 소설 선집』, 현대문학.
    정재림 (2008), 『기억의 고고학』, 보고사.
     
     
    논문
    2024. 11. 중국 조선족 『조선어문』 교과서의 변화와 특징 - 2022년판 고급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공동), 한국어문교육, 49, 61-90.
    2023. 11. 하나의 영화, 서로 다른 두 시선(공동), 한국어문교육, 45, 167-190.
    2023. 09. 예비 국어 교사는 교육실습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성장하는가-협력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상황을 중심으로(공동), 새국어교육, 136, 47-78.
    2023. 02. 융합의 시대, 국어와 과학의 만남 -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의 가능성, 한국어문교육, 42, 81-104.
    2022. 03. 한국어 교량지시 명사구 변이형태에 대한 연구(공동), 언어, 47(2), 317-345.
    2022. 03. 예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공동), 한국문예비평연구, 73, 99-129.
    2021. 06. 팬데믹 시대, 문학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소설 연계 자서전 쓰기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공동), 문학교육학, 71, 9-42.
    2021. 05. 북한 고급중학교 현대문학교육의 성격과 특징, 한국어문교육, 35, 31-54.
    2021. 02. 교육실습에서 국어과 예비교사가 겪는 수업의 어려움과 그에 대한 대응 - 협력적 멘토링 상황을 중심으로(공동), 리터러시 연구, 12(1), 427-462.
    2020. 12. 실제 독자 독서토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그리고 대응 방안 - ‘한 학기 한 권 읽기’수업을 중심으로 (공동), 문학교육학, 69, 9-49.
    2020. 11. 중등 국어교육에서 교양의 위상과 가치, 한국어문교육, 33, 79-105.
    2019. 12. 국어교육에서 '갈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64, 309-334.
    2019. 10.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공동), 리터러시 연구, 10(5), 1-30.
    2019. 06.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적 표현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문교육, 28, 269-294.
    2018. 06. 청소년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 -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청소년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25, 5-23.
    2018. 04. ‘논증 전개 짜임’을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 방안, 교육문화연구, 24(2), 181-200.
    2018. 03. 예비 교사 수업에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의 특징과 교육적 시사점, 한국학연구, 64, 193-220.
    2018. 02. 문학교육에서 청소년 문학의 위상과 교육적 가치, 인문사회과학연구, 19(1), 289-312.
    2017. 09.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연작의 <문학> 교과서 수록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공동), 한국문예비평연구, 55, 247-278.
    2017. 09. 국어 교육에서 ‘창작 의도’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학연구소, 62, 371-401.
    2016. 03. 교과서 제재화 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황순원 『너와 나만의 시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49, 185-206.
    2016. 02. 국어교과서에서 문학 제재의 위상과 중요성, 한국어문교육, 19, 1-22.
    2015. 09. 딜레마 내러티브를 활용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드라마 제재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3), 249-279.
    2015. 08. 이청준 『조율사』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30, 167-189.
    2014. 12. 문학 수업에서 토론의 가치와 효과-박완서 소설에 대한 토론 사례를 중심으로(공동), 한국문예비평연구, 45, 167-189.
    2014. 08. 소설교육에서 해석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공동), 어문논집, 71, 237-261.
    2014. 06. 학습용 만화 『태극천자문』의 서사 전략(공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3, 287-303.
    2014. 04. ‘거리’를 활용한 소설감상교육 - 김유정 소설 감상을 중심으로(공동), 우리문학연구, 42, 321-347.
    2014. 04.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종교의 주체적 수용 양상, 한국문예비평연구, 43, 227-250.
    2013. 12. 공감의 상상력과 문학교육, 어문논집, 69, 85-111.
    2013. 09. 황석영과 서정인 소설의 ‘작부’ 재현 방식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 46, 197-220.
    2013. 03. 황석영 소설의 베트남전쟁 재현 양상과 그 특징, 한국학연구, 44, 301-323.
    2013. 03. 역사서사물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 전략(공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8, 335-355.
    2012. 12. 1950-60년대 소설의 양공주-누이 표상과 오염의 상상력, 비평문학, 46, 457-478.
    2012. 06. 전상국 소설에 나타난 추방자 형상 연구 - 「아베의 가족」,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5, 223-242.
    2012. 03. 문학교과서에 나오는 문학이론 및 개념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 - ‘감정이입’과 ‘공감’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40, 253-274.
    2011. 12. 셀픽션의 서사 구조와 서사 방법에 관한 연구 -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마시멜로 이야기』,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청소부 밥』을 중심으로(공동), 한국문예비평연구, 36, 7-28.
    2011. 12.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근대/전통’의 배치와 그 의미, 비평문학, 42, 407-426.
    2011. 04.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본 추리소설의 서사 구조(공동), 한국문예비평연구, 34, 271-295.
    2011. 04. 종교영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론과 구원 - 박찬욱 <박쥐>와 김기덕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을 중심으로(공동), 서강인문논총, 30, 207-237.
    2011. 03. 타자에 대한 사랑과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 - 전영택과 임옥인의 소설을 중심으로, 신앙과 학문, 16(1), 271-295.
    2010. 08.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의미 - <회색인>을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 15(2), 83-98.
    2010. 04. 근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세 양상, 서강인문논총, 27, 265-292.
    2009. 12.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본 판타지의 서사 방법 - 『반지의 제왕』 『나니아 연대기』 『해리포터』 『드래곤 라자』를 중심으로(공동), 한국문예비평연구, 33, 271-295.
    2007. 04. 『별사(別辭)』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연구 - 문체 분석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33, 205-220.
    2006. 06. 오정희 소설의 이미지 기억 연구, Comparative Korean Studies, 14(1), 203-226.
    2006. 06. 기억의 회복과 분단 극복의 의지 - 김원일 초기 단편소설과 《노을》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30, 185-210.
    2005. 04. 기억의 회복과 여성 정체성 - 오정희 「유년의 뜰」과 「바람의 넋」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51, 379-399.
  • Research

    연구분야
    국어교육
    문학교육
    현대소설(국문학)
  • Teaching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국어교과교육론
    국어교과논리및논술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현장탐방국어문화세미나

     

    일반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론
    국어교재론
    국어교사론
    국어교육사
    국어과질적연구방법론 등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국어교과교육론
    국어교과논리및논술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Lab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