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QUICK MENU

고려대학교 교수소개

Knowledge & Innovation

소개

Prof. 박선화

Tel: 02-2286-1152

E-mail: parksh@korea.ac.kr

  • About Professor
  • Curriculum Vitae
  • Publication
  • Research
  • Teaching
  • Lab Members
  • Profile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1981년에 졸업하였고, 의사면허 취득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서 조교를 시작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7년 3월에 전임강사 발령을 받고 현재까지 교수로서 학생교육(해부학, 발생학, 의학유전학)과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학생들의 강의평가로 탁월한 교육을 한 교수에게 수여되는 석탑강의상을 7번 수상하였다.

    고대의대 해부학교실 주임교수, 대학원 해부생리계열 책임교수 및 BK사업단 분자인체유전학 전공 책임교수로서 대학원생을 지도하여 석사 22명, 박사 25명을 배출하였고, 이들은 모두 대학 또는 전문 연구기관에서 훌륭한 의료인과 연구자로 활약하고 있다.

    미국 Thomas Jefferson Medical College, Cancer Institute 에서 방문교수로서 암유전자에 대한 분석과 유전자 지도작성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미국의 첨단 연구소와 의료 연구 시스템을 경험하였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1997년 고려대학교에 유전병연구소를 설립하여 초대소장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소장으로 활동하면서 한국인 유전자 분석, 유전자 지도 작성, 세포분화 기전과 유전자 발현 조절 기능 규명, 다양한 암의 유전체 분석, AMP 신호전달 연구, 뇌 신경계 질환 관련 유전자 발굴, 신경계 발달 및 뇌 연구 인프라 구축에 대한 업적을 남겼다.

    1980년대에는 주로 환자에 대한 염색체 분석을 하였고, 1990년대 부터는 FISH 방법으로 사람 유전자 지도 작성하였다. 염색체 미세 해부를 통해 염색체 페인팅 probes를 제작하여 암에서 보이는 표지염색체를 분석하였고, CGH 방법을 이용하여 암에서의 유전체 불균형 현상을 규명하였다. 2006년부터는 암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연구로 대장암에 대한 과메틸화 유전자를 분석하고 있으며, 피톤치드 화합물 중에서 후성학적 기전에 의한 항암효과를 가진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Curriculum Vitae

    Education
    • 의학박사 (1983-1987):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의학석사 (1981-1983):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의학사 (1975-1981):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Professional Experiences
    • 2014 – 2015 : 대한해부학회 회장
    • 2012 – 2014 :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회장
    • 2011 – 2014 : 고려대 의학도서관 관장
    • 2011 – 2013 : 제29차 세계여자의사회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진행분과위원장
    • 2011 – 2012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주임교수
    • 2010 – 2016 : 한국여자의사회 학술이사, 정보이사, 사업이사
    • 2006 – 2010 : 고려대 대학원 해부생리계열 책임교수
    • 2005 – 2006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
    • 2003 – 2007 : 교우회 재무이사, 총무이사
    • 2003 – 2007 : 대한 해부학회 재무이사
    • 2001 – 2007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주임교수
    • 1999 – 2013 : 고려대학교 BK21 의과학사업단 책임교수
    • 1997 - 2011 : 고려대학교 유전병연구소 소장
    • 1998 – 2000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장
    • 1999 - 현재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1994 – 1999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 1990 – 1994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 1992 – 1993 : Thomas Jefferson Medical Univ. 방문교수
    • 1985 – 1990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수상 경력
    • 제3회 한곡학술상 빛날상 (대한해부학회) 수상: 1997년 10월
    • 제1회 고의대 교우회 학술상(연구계획 부문) 수상: 2000년 1월
    • 고려대학교 의료원 학술상 최우수상 수상 2001년 12월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09년 5월5일 2008년 2학기 인체유전학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0년 5월5일 2009년 2학기 인체유전학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0년 9월1일 2010년 1학기 발생학총론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11년 5월5일 2010년 2학기 인체유전학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11년 9월1일 2011년 1학기 발생학총론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2년 5월5일 2011년 2학기 인체유전학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12년 9월1일 2012년 1학기 발생학총론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2년 9월1일 2012년 1학기 해부학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3년 9월1일 2013년 1학기 발생학총론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14년 5월9일 2013년 2학기 인체유전학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15년 5월5일 2014년 2학기 의학유전학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5년 5월5일 2014년 2학기 발생학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상 2016년 4월4일 2015년 2학기 발생학
    •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2017년 4월13일 2016년 2학기 의학유전학
  • Publication

    국제학술지(2014년 이후)
    • 1. Seo JS, Choi YH, Moon JW, Kim HS, Park SH. Hinokitiol induces DNA demethylation via DNMT1 and UHRF1 inhibition in colon cancer cells. BMC Cell biology 2017 18:14 02

    • 2. Kim N, Lee JO, Lee HJ, Lee YW, Kim HI, Kim SJ, Park SH, Lee CS, Ryoo SW, Hwang GS, Kim HS. AMPK, a metabolic sensor, is involved in isoeugenol-induced glucose uptake in muscle cells. J Endocrinol. 2016 Feb;228(2):105-14

    • 3. Lim SM, Jang HY, Lee JE, Shin JS, Park SH, Yoon BH, Kim GJ. Alteration of Pituitary Tumor Transforming Gene-1 Regulates Trophoblast Invasion via the Integrin/Rho-Family Signaling Pathway. PLOS ONE 2016 02

    • 4. Lee JO, Kim N, Lee HJ, Lee YW, Kim SJ, Park SH, Kim HS. Resistin, a fat-derived secretory factor, promotes metastasis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through ERM activation. Sci Rep. 2016 Jan 5;6:18923

    • 5. Kim JH, Lee JO, Kim N, Lee HJ, Lee YW, Kim HI, Kim SJ, Park SH, Kim HS. Paclitaxel suppresses the viability of breast tumor MCF7 cells through the regulation of EF1α and FOXO3a by AMPK signaling. Int J Oncol. 2015 Nov;47(5):1874-80.

    • 6. Kim N, Lee JO, Lee HJ, Kim HI, Kim JK, Lee YW, Lee SK, Kim SJ, Park SH, Kim HS. Endogenous Ligand for GPR120, Docosahexaenoic Acid, Exerts Benign Metabolic Effects on the Skeletal Muscles via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J Biol Chem. 2015 Aug 14;290(33):20438-47

    • 7. Lee JO, Kim N, Lee HJ, Moon JW, Lee SK, Kim SJ, Kim JK, Park SH, Kim HS. Visfatin Stimulates Glucose Uptake through the Ca2+-dependent AMPK-p38 MAPK in C2C12 Cells. Journal of Molecular Endocrinology. 2015 April 14.

    • 8. Lee HS, Jeong HY, Park SE, Yoo WB, Choi SY, Choi KM, Lee MG, Lee MH, Cha DR, Kim YS, Han JY, Kim WK, Park SH, Oh JS. Fusion protein of retinol-binding protein and albumin domain III reduces liver fibrosis. EMBO Molecular Medicine 7(6) 819-830, 2015 Apr

    • 9. Jung J, Moon JW, Choi JH, Lee YW, Park SH, Kim GJ. Epigenetic alterations of IL-6/STAT3 signaling by placental stem cells promote hepatic regeneration in a rat model with CCl4-induced liver injury. International J. of Stem cell 8(1) 79-89, 2015

    • 10. Moon JW, Choi JH, Lee SK, Lee YW, Lee JO, Kim N, Lee HJ, S대 JS Kim J, Kim HS, Kim GJ, Park SH.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membrane type3 matrix metalloproteinase is associated with cell migration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Cancer Genetics 208 261-270. 2015. 04

    • 11. Lee SK, Moon JW, Lee YW, Lee JO, Kim SJ, Kim N, Kim J, Kim HS, Park SH. The effect of high glucose levels on the hypermetylation of the protein phosphatase 1 regulatory subunit 3C (PPP1R3C) gene in colorectal cancer. J. Genetics 94(1) 75-85. 2015. Mar

    • 12. Kim N, Kim HM, Lee ES, Lee JO, Lee HJ, Lee SK, Moon JW, Kim JH, Kim JK, Kim SJ, Park SH, Chung CH, Kim HS. Dibenzoylmethane Exerts Metabolic Activity through Regu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Mediated Glucose Uptake and Adipogenesis Pathways. PLoS One. 2015 Mar 10;10(3):e0120104

    • 13. Lee JO, Kim N, Lee HJ, Moon JW, Lee SK, Kim SJ, Kim JK, Park SH, Kim HS. [6]-Gingerol affects glucose metabolism by dual regulation via the AMPKα2-mediated AS160-Rab5 pathway and AMPK-mediated insulin sensitizing effects. J Cell Biochem. 2015 Feb 18.

    • 14. Kim SJ, Kim HM, Lee ES, Kim N, Lee JO, Lee HJ, Park NY, Jo JY, Ham BY, Han SH, Park SH, Chung CH, Kim HS. Dehydrozingerone exerts beneficial metabolic effect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via AMPK activation in skeletal muscle. J Cell Mol Med. 2015 Jan 12.

    • 15. Kim N, Lee JO, Lee HJ, Lee SK, Moon JW, Kim SJ, Park SH, Kim HS. AMPKα2 translocates into the nucleus and interacts with hnRNP H: implications in metformin-mediated glucose uptake. Cell Signal. 2014 Sep;26(9):1800-6.

    • 16. Sha J, Na J, Lee JO, Kim N, Lee SK, Kim JH, Moon JW, Kim SJ, Lee HJ, Choi JI, Park SH, Kim HS. Vav3, a GEF for RhoA, Plays a Critical Role under High Glucose Conditions. Endocrinol Metab (Seoul). 2014 Sep;29(3):363-70.

    • 17. Moon JW, Lee SK, Lee JO, Kim JH, Kim N, Kim J, Kim HS, Park SH. Demethylation of RUNX3 by Vincristine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Anticancer Research 2014 (34, 133-140)

    • 18. Moon JW, Lee SK, Lee JO, Kim N, Lee YW, Kim SJ, Kang HJ, Kim J, Kim HS, Park SH. Identification of novel hypermethylated genes and demethylating effect of vincristine in colorectal cancer.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33, 4) 2014

    • 19. Lee JO, Moon JW, Lee SK, Kim SM, Kim N, Ko SG, Kim HS, Park SH. Rhus verniciflua extract modulates survival of MCF-7 Breast Cancer Cells through the Modulation of AMPK-pathway.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7(5) 794-801, 2014

    • 20. Moon JW, Lee SK, Lee YW, Lee JO, Kim N, Lee HJ, Seo JS, Kim J, Kim HS, Park SH. Alcohol induces cell proliferation via hypermethylation of ADHFE1 in colorectal cancer cells. BMC Cancer. 2014 May 28;14:377.
    국내학술지
    • 1. 전수현, 이영미, 박선화(2008).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해부학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학술지 20(3): 189-198
    • 2. 오종건, 오창욱, 박선화, 노권재, 정창원(2005). 한국 성인 대퇴골에 대한 LCP-DF (Locking compression Plate-Distal Femur)의 정합도 -사체연구- 대한골절학회지 18(4): 399-404
    • 3. 이소연, 이분희, 이정애, 김계현, 김용구, 박선화(2005).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 환자의 언어적 기억능력과 기억과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 12:207-215
  • Research

    Research Topic

    대장암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연구로 암의 진행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하여 진단 및 예후인자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를 분석하고 있다.

    새로운 탈메틸화 반응물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이 회복되는가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치료제의 타겟을 규명하고 있다. 피톤치드 화합물 중에서 후성학적 기전에 의한 항암효과를 가진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암의 치료제 신약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단계의 타겟 발굴을 통해 임상과 기초 연구의 중개 허브 역할을 하고자 한다.

  • Teaching

    • 해부학
    • 의학유전학
    • 발생학
  • Lab Members

    • 박선화
    • 김현수
    • 이정옥
    • 문지욱
    • 김정숙
    • 이용우